뉴스72
웰컴금융, 해커 주장 반박 고객정보 유출 없어 …금감원·KISA 확인중 웰컴금융, 해커</font> 주장 반박  고객정보 유출 없어 …금감원·KISA  확인중 등록일2025.08.18 SGI서울보증에 이어 웰컴금융그룹도 랜섬웨어 해킹 공격을 받은 것으로 오늘(18일) 확인됐습니다. 웰컴금융그룹에 따르면 이 회사와 계열사인 대부업체 웰릭스에프앤아이대부는 최근 해외 해커 조직의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고객 개인정보 유출 여부 등을 확인 중입니다. 웰컴금융그룹은 다른 계열사 피해 여부를 점검 중이며, 금융감독원과 KISA도 보고를 받아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유출 관련해, KISA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관계자들은 &'회사 측이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 관련 신고를 해야 조사에 착수한다&'면서 &'개인정보가 해킹만 되고 유출은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개보위 관계자는 &'아직까지 웰컴금융 측의 개인정보 유출 관련 신고는 없었다&'고 전했습니다. 해커 &'모든 고객 DB 갖고 있다&' vs. 웰컴 &'고객 정보 유출은 안 돼&'

러시아계 해커 조직이 웰컴금융그룹 모든 고객 정보를 확보했다고 주장했지만, 웰컴 측은 내부 문서일 뿐 고객 정보 유출은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한 러시아계 해커 조직은 다크웹을 통해 자신들의 소행임을 오늘 오전 밝혔습니다. 이들은 &'웰컴금융그룹 모든 고객의 데이터베이스를 갖고 있다&'면서 &'여기에는 고객 이름, 생년월일, 자택·사무실 주소, 계좌, 이메일 등 수많은 정보가 포함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웰컴금융그룹은 중요한 정보를 보호하는 데 매우 무책임했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해커 조직은 실제 내부 문서로 보이는 자료들도 &'샘플&'로 게시하기까지 했습니다. 그러나 웰컴금융그룹은 해당 문서들이 고객 정보가 아니라 회의 자료나 품의 서류 등 내부 문서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웰컴금융그룹 관계자는 &'그룹 내 대부업체가 공격 받았고 내부 정보가 일부 유출된 것은 확인이 된다&'면서 &'처리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핵심 계열사이자 여·수신 업무를 하는 웰컴저축은행에는 피해가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웰컴금융 관계자는 &'저축은행은 다른 계열사와 서버를 분리해둔 상태라 은행 고객 정보나 여수신 정보는 안전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대부업체 고객 정보 유출이 확인될 경우 파장이 상당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됩니다.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웰릭스에프앤아이대부는 웰컴저축은행으로부터 부실채권(NPL)을 주로 매입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만일 고객 정보가 유출됐다면 저신용자들의 피해가 클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주요 한국 기업과 금융사 대상 해킹 공격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보안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랜섬웨어는 컴퓨터나 서버에 바이러스를 침투시켜 내부 파일을 감염시킨 뒤 암호화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해커는 통상 감염된 파일을 정상 상태로 되돌려주는 조건으로 금전적 대가를 요구합니다.
'40만명 개인정보 유출'…이화여대·전북대 과징금 9.7억 '40만명 개인정보 유출'…이화여대·전북대 과징금 9.7억 등록일2025.06.12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안전조치 소홀로 개인정보를 유출한 전북대와 이화여대에 9억 6천6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습니다. 개인정보위는 개인정보 보호법을 위반해 개인정보를 유출한 전북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에 9억 6천600만원의 과징금과 54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시정명령·공표명령·징계권고를 내린다고 오늘(12일) 밝혔습니다. 개인정보위는 두 대학의 학사정보 시스템에 구축 당시부터 취약점이 존재하고 일과시간 외 야간·주말에는 외부의 불법 접근을 탐지해 차단하는 모니터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 보호법에 따른 안전조치의무를 소홀히 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전북대의 경우 지난해 7월 28일부터 같은 해 7월 29일까지 해커가 에스큐엘(SQL) 인젝션(데이터베이스 명령어 주입)·파라미터(입력값) 변조 공격을 통해 32만여 명의 개인정보(주민등록번호 28만여 건 포함)를 탈취했습니다. 개인정보위는 조사 결과 해커가 학사행정정보시스템의 비밀번호 찾기 페이지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해 학번 정보를 입수한 후 학적정보 조회 페이지 등에서 90만 회의 파라미터 변조·무작위 대입을 통해 전북대 학생·평생교육원 홈페이지 회원 32만여 명의 개인정보에 접근한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해당 취약점은 시스템 구축 당시부터 존재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아울러 전북대는 외부 공격에 대한 대응이 미흡하고 특히 일과시간 외에는 모니터링을 소홀히 한 결과 주말·야간에 발생한 비정상적 트래픽 급증 현상을 지난해 7월 29일 오후 뒤늦게 인지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에 개인정보위는 전북대에 6억 2천300만 원의 과징금과 54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하면서 이를 대학 홈페이지에 공표하도록 명령했습니다. 또 개인정보위는 모의해킹 등 취약점 점검을 강화하고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도록 시정명령을 내리고 책임자에 대한 징계도 권고했습니다. 이화여대의 경우 지난해 9월 2일부터 같은 해 9월 3일 해커가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DB) 조회 기능의 취약점을 악용한 파라미터 변조 공격으로 이화여대 통합행정시스템에 침입해 8만 3천여 명의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한 개인정보를 탈취했습니다. 개인정보위는 조사 결과 해커는 통합행정시스템에 접근해 10만 회의 파라미터 변조·무작위 대입을 통해 이화여대 학부생·학부 졸업생 8만 3천여 명의 개인정보를 탈취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화여대 역시 이러한 취약점이 시스템 구축 당시부터 존재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화여대도 외부 공격에 대한 대응이 미흡하고 특히 일과시간 외에는 주말·야간 모니터링을 소홀히 하는 등 외부의 불법적인 접근 통제 조치가 미흡했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에 개인정보위는 이화여대에 3억 4천3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하면서 이를 대학 홈페이지에 공표하도록 명령했습니다. 또 개인정보위는 모의해킹 등 취약점 점검을 강화하고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도록 시정명령을 내리고 책임자에 대한 징계를 권고했습니다. 개인정보위는 최근 대학에서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잇따르는 점을 감안해 교육부에 전국 대학 학사정보관리시스템의 개인정보 관리가 강화될 수 있도록 전파해 줄 것과 관련 내용을 대학 평가 등에 반영될 수 있도록 검토해 줄 것을 요청할 예정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중국, 사상 최대 40억 건 개인정보 유출…위챗·알리페이 피해  중국, 사상 최대 40억 건 개인정보 유출…위챗·알리페이 피해 등록일2025.06.10 ▲ 유출된 중국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중국에서 단일 규모로는 사상 최대인 40억 건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홍콩 성도일보가 해외 보안 전문 매체 사이버뉴스를 인용해 10일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사이버뉴스 연구팀은 최근 631기가바이트(GB) 분량의 개인 정보 데이터 최대 40억 건이 비밀번호 없이 노출된 것을 발견했습니다. 유출된 데이터베이스 가운데 가장 큰 'wechatid_db'는 8억 500만 건 이상의 정보를 담고 있는데, 위챗(중국판 카카오톡)에서 수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두 번째로 큰 'address_db'에는 실제 주소 정보 7억 8천만 건이 담겼습니다. 세 번째 규모인 'bank'에는 신용카드 번호, 생년월일, 이름, 전화번호를 포함한 6억 3천만 건 이상의 금융 데이터가 포함됐습니다. 연구팀은 이 세 가지 데이터 세트에만 접근하면 해커가 특정 사용자의 거주지, 지출 습관, 부채 및 저축을 알아낼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약 5억 7천700만 건의 정보가 담긴 'wechatinfo'라는 데이터베이스에는 위챗 통신 로그와 사용자 대화가 들어있을 가능성이 큰 상황입니다. 아울러 3억 건의 자료가 담긴 'zfbkt_db'에는 즈푸바오(알리페이) 카드와 토큰 정보도 포함돼 있습니다. 해커가 인증되지 않은 계정에 대한 활성화를 시도하고 사용자 신원을 도용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경고했습니다. 연구팀은 데이터베이스가 신중하게 수집 및 관리돼 왔다 면서 거의 모든 중국 시민의 행동, 경제, 사회 데이터를 파악하는 데 악용될 수 있다 고 분석했습니다. (사진=사이버뉴스 캡처, 연합뉴스)
中 개인정보 사상 최대 40억건 유출…위챗·알리페이 피해  中 개인정보 사상 최대 40억건 유출…위챗·알리페이 피해 등록일2025.06.10 중국에서 단일 규모로 사상 최대인 40억건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홍콩 성도일보가 해외 보안 전문 매체 사이버뉴스를 인용해 10일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사이버뉴스 연구팀은 최근 631기가바이트(GB) 분량의 개인 정보 데이터 최대 40억건이 비밀번호 없이 노출된 것을 발견했습니다. 유출된 데이터베이스 가운데 가장 큰 &'wechatid_db&'는 8억500만건 이상의 정보를 담고 있는데, 위챗(중국판 카카오톡)에서 수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두 번째로 큰 &'address_db&'에는 실제 주소 정보 7억8천만건이 담겼습니다. 세 번째 규모인 &'bank&'에는 신용카드 번호, 생년월일, 이름, 전화번호를 포함한 6억3천만건 이상의 금융 데이터가 포함됐습니다. 연구팀은 이 세 가지 데이터 세트에만 접근하면 해커가 특정 사용자의 거주지, 지출 습관, 부채 및 저축을 알아낼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약 5억7천700만건의 정보가 담긴 &'wechatinfo&'라는 데이터베이스에는 위챗 통신 로그와 사용자 대화가 들어있을 가능성이 큰 상황입니다. 아울러 3억건의 자료가 담긴 &'zfbkt_db&'에는 즈푸바오(알리페이) 카드와 토큰 정보도 포함돼 있는데, 해커가 인증되지 않은 계정에 대한 활성화를 시도하고 사용자 신원을 도용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경고했습니다. 연구팀은 &'데이터베이스가 신중하게 수집 및 관리돼 왔다&'면서 &'거의 모든 중국 시민의 행동, 경제, 사회 데이터를 파악하는 데 악용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대만 경제일보는 피해자 가운데는 대만인도 포함돼 있다고 전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