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7,688
휘발유 미리 넣어놔야 하나…유류세 인하연장 곧 결정 휘발유</font> 미리 넣어놔야 하나…유류세 인하연장 곧 결정 등록일2025.04.15 정부가 이달 말 종료 예정인 유류세 한시적 인하 조치의 연장 여부를 다음주쯤 결정할 전망입니다. 최근 국제 유가가 다소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나, 고환율 기조가 이어지면서 체감 유류비 부담은 여전히 크다는 점이 판단 요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15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유가, 환율, 물가 등 변수를 고려해 다음 주 유류세 탄력세율의 한시적 인하 조치 연장 여부를 결정할 예정입니다. 정부는 인하 조치 연장, 연장하되 부분 환원, 인하 조치 일몰 등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각각 물가와 세수에 미칠 영향을 분석 중인 것으로 알려집니다. 인하 조치를 연장하되 최근 국제유가 하락세를 고려해 탄력세율을 부분적으로 높이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됩니다. 정부는 2021년 말부터 유류세를 인하해왔으며, 그간 유가·물가 상황에 따라 총 14차례 연장했다. 이번에도 인하 조치를 유지한다면 15번째 연장입니다. 현재 유류세 탄력세율은 휘발유는 15%, 경유 및 액화석유가스(LPG) 부탄은 23% 인하된 수준으로, 세율 인하 전보다 휘발유는 리터(L)당 122원, 경유는 133원 저렴합니다. 국제유가는 최근 글로벌 관세전쟁 격화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로 4년 만에 최저 수준까지 떨어진 뒤 등락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의 주간 평균 가격은 9주 연속 동반 하락하고 있습니다, 유가 하락세를 고려하면 유류세 인하 조치를 종료할 명분이 되지만, 여전히 1,400원을 웃도는 달러·원 환율이 변수입니다. 고환율이 유류 수입 가격에 반영되는 만큼 체감 유가를 높이는 요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작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는데, 그 가운데 석유류 물가 상승률은 이보다 높은 2.8%를 기록하며 전체 물가를 0.11%포인트(p)가량 끌어올렸습니다. 기재부 관계자는 &'현재까지 유류세 인하 조치 연장 여부와 관련해 결정된 방안은 없다&'며 &'유가, 환율, 물가 등을 고려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주유소 기름값 9주 연속 하락… 하락세 이어질 듯 주유소 기름값 9주 연속 하락… 하락세 이어질 듯 등록일2025.04.12 ▲ 6일 서울 시내 주유소 모습 이번 주 국내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의 주간 평균 가격이 9주 연속 동반 하락했습니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이번 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지난주 대비 L당 6.5원 내린 1658.6원이었습니다. 지역별로 가격이 가장 높은 서울은 지난주 대비 4.8원 하락한 1723.2원, 가격이 가장 낮은 대구는 9.6원 내린 1620.8원으로 각각 집계됐습니다. 상표별 가격은 SK에너지 주유소가 L당 평균 1668.9원으로 가장 높았고, 알뜰주유소가 1635.9원으로 가장 낮았습니다. 경유 평균 판매 가격은 지난주 대비 6.9원 낮은 1524.7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번 주 국제유가는 미국 상호관세 정책 발표 이후 세계 경기 침체 우려와 미국 에너지정보청의 석유 수요 둔화 전망 등으로 대폭 하락했습니다. 수입 원유 가격 기준인 두바이유는 지난주보다 10.2달러 내린 64.3달러였습니다. 국제 휘발유 가격은 10.4달러 하락한 71달러, 국제 자동차용 경유는 8.8달러 내린 78.2달러로 집계됐습니다. 국제유가 변동은 통상 2∼3주가량 차이를 두고 국내 주유소 가격에 반영됩니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당초 가격 상승 압력이 높아진 상황이었으나 이번 주에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해 다음 주 이후에도 가격 약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고 전망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주유소 기름값 9주 연속 하락… 유가 급락에 약세 이어질 듯 주유소 기름값 9주 연속 하락… 유가 급락에 약세 이어질 듯 등록일2025.04.12 ▲ 지난 6일 서울 시내 주유소 모습. 이번 주 국내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의 주간 평균 가격이 9주 연속 동반 하락했습니다. 12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4월 둘째 주(6∼10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직전 주 대비 L당 6.5원 내린 1천658.6원이었습니다. 지역별로 가격이 가장 높은 서울은 전주 대비 4.8원 하락한 1천723.2원, 가격이 가장 낮은 대구는 9.6원 내린 1천620.8원으로 각각 집계됐습니다. 상표별 가격은 SK에너지 주유소가 L당 평균 1천668.9원으로 가장 높았고, 알뜰주유소가 1천635.9원으로 가장 낮았습니다. 경유 평균 판매 가격은 전주 대비 6.9원 낮은 1천524.7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번 주 국제유가는 미국 상호관세 정책 발표 이후 세계 경기 침체 우려 가속, 미국 에너지정보청의 석유 수요 둔화 전망 등에 대폭 하락했습니다. 수입 원유 가격 기준인 두바이유는 직전 주보다 10.2달러 내린 64.3달러였습니다. 국제 휘발유 가격은 10.4달러 하락한 71달러, 국제 자동차용 경유는 8.8달러 내린 78.2달러로 집계됐습니다. 국제유가 변동은 통상 2∼3주가량 차이를 두고 국내 주유소 가격에 반영됩니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당초 가격 상승 압력이 높아진 상황이었으나 이번 주에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해 다음 주 이후에도 가격 약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고 전망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주유소 기름값 9주 연속 내렸다…당분간 ↓ 주유소 기름값 9주 연속 내렸다…당분간 ↓ 등록일2025.04.12 이번주 국내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의 주간 평균 가격이 9주 연속 동반 하락했습니다. 오늘(12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4월 둘째 주(6∼10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직전 주 대비 리터당 6.5원 내린 1658.6원이었습니다. 지역별로 가격이 가장 높은 서울은 전주 대비 4.8원 하락한 1723.2원, 가격이 가장 낮은 대구는 9.6원 내린 1620.8원으로 각각 집계됐습니다. 상표별 가격은 SK에너지 주유소가 리터당 평균 1668.9원으로 가장 높았고, 알뜰주유소가 1635.9원으로 가장 낮았습니다. 경유 평균 판매 가격은 전주 대비 6.9원 낮은 1524.7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번주 국제유가는 미국 상호관세 정책 발표 이후 세계 경기 침체 우려 가속, 미국 에너지정보청의 석유 수요 둔화 전망 등에 대폭 하락했습니다. 수입 원유 가격 기준인 두바이유는 직전 주보다 10.2달러 내린 64.3달러였습니다. 국제 휘발유 가격은 10.4달러 하락한 71달러, 국제 자동차용 경유는 8.8달러 내린 78.2달러로 집계됐습니다. 국제유가 변동은 통상 2∼3주가량 차이를 두고 국내 주유소 가격에 반영됩니다.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만큼 당분간 국내 주유소 기릅값 하락세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