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2,166
야쿠르트에 지하철까지…고물가에 허리 휜다 야쿠르트에 지하철</font>까지…고물가에 허리 휜다 등록일2025.04.21 [앵커] 먹거리 가격 인상 소식이 줄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공공요금 인상도 예고됐습니다. 서민들의 생활물가 부담은 갈수록 커질 전망입니다. 정대한 기자, 국민 간식인 떡볶이와 야쿠르트 가격도 오른다고요? [기자] 먼저 즉석떡볶이 뷔페 &'두끼&'가 1년 9개월 만에 다음 달 가격을 인상합니다. 성인 이용가격은 1만 900원에서 1만 1천900원으로 1천 원 오르고, 중·고등학생 가격도 9천900원에서 1만 900원으로 인상됩니다. 음료를 많이 찾게 되는 여름이 다가오는 가운데 각종 음료값도 인상되는데요. 저가 커피 브랜드인 메가커피가 오늘(21일)부터 아메리카노 등을 200~300원 인상한데 이어, 국민음료 격인 야쿠르트도 최대 14%, 스프라이트와 환타 가격도 5% 넘게 인상됩니다. [앵커] 그런가 하면 곧 지하철 요금도 오른다고요? [기자] 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은 6월 중 1천400원에서 1천550원으로 150원 오를 예정입니다. 앞서 서울시는 작년부터 요금을 인상하겠다고 예고했지만, 정부의 물가안정 기조에 실제 인상은 이뤄지지 않았는데요. 지하철 운영기관인 서울교통공사의 누적 적자가 19조 원에 달해 심각한 만큼 더는 인상을 미룰 수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가장 많은 노선을 보유한 서울시는 모든 행정 절차가 끝나면 6월 중 요금을 올리겠다는 계획인 가운데, 정확한 인상 날짜는 이달 말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와 코레일이 정책협의를 열어 확정할 계획입니다. SBS Biz 정대한입니다.
수도권 지하철 요금 6월 150원 오른다…행정절차 마무리 수순 수도권 지하철</font> 요금</font> 6월 150원 오른다…행정절차 마무리 수순 등록일2025.04.21 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이 6월 중 1천400원에서 1천550원으로 150원 오릅니다. 난항을 겪었던 경기도의회의 요금 심의가 마무리되면서 서울시가 목표했던 상반기 내 인상이 가능해졌습니다. 경기도의회는 최근 철도 요금을 150원 인상하는 내용의 '도시철도 운임범위 조정에 대한 도의회 의견청취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조만간 경기도 소비자정책위원회만 거치면 요금을 올리는 데 필요한 행정 절차는 모두 끝납니다. 경기도 역시 요금 인상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어 소비자정책위원회는 무리 없이 통과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후에는 요금 시스템을 운영하는 티머니가 약 두 달간 바뀐 요금을 적용하는 시스템 개발을 진행합니다. 가장 많은 노선을 보유해 결정권을 쥔 서울시는 행정 절차를 완료하는 대로 시스템 준비에 속도를 내 6월 중 요금을 올린다는 계획입니다. 정확한 인상 날짜는 이달 말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시, 코레일(한국철도공사) 간 정책협의를 열어 확정합니다. 공공요금 인상의 사회적 파급력과 시스템 준비 기간을 고려하면 대선 이후 6월 말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2023년 10월 7일부터 지하철 기본요금을 150원(1천250원→1천400원) 올리면서 2024년에 150원을 추가 인상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물가안정 기조에 보조를 맞추느라 실제 인상은 이뤄지지 않았고, 1년이 지나 이번에 올릴 수 있게 됐습니다. 누적 적자가 19조 원에 육박한 서울교통공사의 경영난 해소를 위해서는 지하철 요금인상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교통공사의 작년 말 기준 당기순손실은 전년보다 40% 증가한 7천241억 원, 누적 적자는 18조 9천억 원에 달합니다. 부채는 7조 3천474억 원으로, 하루 이자만 3억 원 넘게 내는 실정입니다. 전기료 등 운영 비용은 가파르게 오르는 동안 지하철 요금은 제자리였던 것이 주요 이유로 꼽히는데, 보다 근본적인 적자 개선을 위해선 요금 인상에 더해 무임수송 손실에 대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게 서울시와 교통공사의 일관된 입장입니다. 지난해 기준 무임승차 인원은 전체의 약 17%인 하루 751만 명으로 이로 인한 손실액은 한해 4천억 원 수준입니다. 서울시는 무임수송이 대통령 지시에 의해 도입됐고 거주지와 상관없이 전국 모든 국민에게 적용되므로 국가 사무에 해당해 PSO(공공서비스에 따른 손실보전 지원) 대상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코레일은 현재 무임수송의 약 70%를 보전받고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