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862
수도권 공공분양 내년 2만 9천 가구… 판교급 신도시 조성한 것 수도권 공공분양 내년 2만 9천 가구… 판교급 신도시</font> 조성한 것 등록일2025.11.26 ▲ 3기 신도시 남양주 왕숙 공공택지지구 내년에 수도권(서울·경기·인천) 공공택지에서 2만 9천 가구 규모의 분양 물량이 풀립니다. 국토교통부는 오늘(26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경기주택도시공사(GH)·인천도시공사(iH)와 내년 3월부터 연말까지 이러한 규모의 공공분양주택을 순차로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가 지난 9·7 주택 공급 대책에서 발표한 수치(2만 7천 가구)보다 2천 가구 증가한 규모입니다. 특히 최근 5년간(2021∼2025년) 수도권 평균 분양 물량(1만 2천 가구)의 2.3배 수준이자, 4개 공공기관의 올해 분양 물량(2만 2천 가구) 대비 32.2% 늘어난 수치입니다. 국토부는 2만 9천 가구 규모인 판교급 신도시를 하나 새로 조성한 것에 준하는 수준 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지역별로 서울 1천300 가구, 인천 3천600 가구, 경기 2만 3천800 가구입니다. 지구별로는 3기 신도시 7천500 가구, 2기 신도시 7천900 가구, 기타 중소택지 1만 3천200 가구입니다. 3기 신도시에서는 고양창릉 3천881 가구, 남양주왕숙 1천868 가구, 인천계양 1천290 가구 등입니다. 2기 신도시는 평택고덕 5천134 가구, 광교 600 가구, 화성동탄2 473 가구입니다. 중소택지에서는 고덕강일 1천305호 가구, 검암역세권 1천190 가구, 구리갈매역세권 287 가구 등이 공급될 예정입니다. 아울러 올해 남은 기간에도 이달 남양주왕숙(881 가구), 군포대야미(1천3 가구)를 포함해 총 5천100 가구가 수도권에서 추가로 분양될 예정입니다. 이 밖에 국토부는 LH 직접 시행 확대 정책의 일환으로 발표했던 LH 소유의 비주택 용지 용도 전환 정례화 제도 또한 첫발을 내디뎠다고 소개했습니다. 앞서 정부는 지난 9·7대책을 통해 장기간 활용되지 않거나 과도하게 계획된 비주택 용지의 용도와 기능을 정례적으로 심의하고, 필요시 주택용지로 전환하는 '공공택지 재구조화' 제도 도입을 추진한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그러면서 제도 도입 전에는 우선 추진 물량으로 1만 5천 가구의 공급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이날 LH는 우선 추진 물량의 28%인 4천100 가구 규모의 공공주택 공급을 위해 유보지 등 비주택 용지의 용도 조정안을 담은 관련 계획 변경안을 국토부에 제출했습니다. 조정 대상 입지는 3기 신도시인 남양주 왕숙(455 가구), 2기 신도시인 파주운정3(3천200 가구), 중소 택지인 수원당수(490 가구)입니다. 사업지별 공공주택은 지구계획 승인 등 일련의 절차를 거쳐 순차로 공급할 계획이며, 특히 수원당수는 내년 중 주택 착공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국토부 김배성 공공주택추진단장은 도심에 여러 유휴 부지를 찾아 주택을 공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당초 예상과 달리 오랫동안 쓰이지 않는 부지를 적극적으로 용도 전환해서 주택을 공급하는 것도 매우 의미 있는 작업 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내년 수도권 공공분양 2만9천가구… 판교 신도시급 공급 내년 수도권 공공분양 2만9천가구… 판교 신도시</font>급 공급 등록일2025.11.26 내년에 수도권(서울·경기·인천) 공공택지에서 2만9천가구 규모의 분양 물량이 풀립니다. 국토교통부는 26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경기주택도시공사(GH)·인천도시공사(iH)와 내년 3월부터 연말까지 이러한 규모의 공공분양주택을 순차로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가 지난 9·7 주택 공급 대책에서 발표한 수치(2만7천가구)보다 2천가구 증가한 규모입니다. 특히 최근 5년간(2021∼2025년) 수도권 평균 분양 물량(1만2천가구)의 2.3배 수준이자, 4개 공공기관의 올해 분양 물량(2만2천가구) 대비 32.2% 늘어난 수치입니다. 국토부는 &'2만9천가구 규모인 판교급 신도시를 하나 새로 조성한 것에 준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지역별로 서울 1천300가구, 인천 3천600가구, 경기 2만3천800가구입니다. 지구별로는 3기 신도시 7천500가구, 2기 신도시 7천900가구, 기타 중소택지 1만3천200가구입니다. 3기 신도시에서는 고양창릉 3천881가구, 남양주왕숙 1천868가구, 인천계양 1천290가구 등입니다. 2기 신도시는 평택고덕 5천134가구, 광교 600가구, 화성동탄2 473가구입니다. 중소택지에서는 고덕강일 1천305호가구, 검암역세권 1천190가구, 구리갈매역세권 287가구 등이 공급될 예정입니다. 아울러 올해 남은 기간에도 이달 남양주왕숙(881가구), 군포대야미(1천3가구)를 포함해 총 5천100가구가 수도권에서 추가로 분양될 예정입니다. 이 밖에 국토부는 LH 직접 시행 확대 정책의 일환으로 발표했던 LH 소유의 비주택 용지 용도 전환 정례화 제도 또한 첫발을 내디뎠다고 소개했습니다. 앞서 정부는 지난 9·7대책을 통해 장기간 활용되지 않거나 과도하게 계획된 비주택 용지의 용도와 기능을 정례적으로 심의하고, 필요시 주택용지로 전환하는 &'공공택지 재구조화&' 제도 도입을 추진한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그러면서 제도 도입 전에는 우선 추진 물량으로 1만5천가구의 공급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이날 LH는 우선 추진 물량의 28%인 4천100가구 규모의 공공주택 공급을 위해 유보지 등 비주택 용지의 용도 조정안을 담은 관련 계획 변경안을 국토부에 제출했습니다. 조정 대상 입지는 3기 신도시인 남양주 왕숙(455가구), 2기 신도시인 파주운정3(3천200가구), 중소 택지인 수원당수(490가구)입니다. 사업지별 공공주택은 지구계획 승인 등 일련의 절차를 거쳐 순차로 공급할 계획이며, 특히 수원당수는 내년 중 주택 착공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김배성 국토부 공공주택추진단장은 &'도심에 여러 유휴 부지를 찾아 주택을 공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당초 예상과 달리 오랫동안 쓰이지 않는 부지를 적극적으로 용도 전환해서 주택을 공급하는 것도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거래 늘고, 가격 오르고 …비규제지역 '풍선효과'  거래 늘고, 가격 오르고 …비규제지역 '풍선효과' 등록일2025.11.14 &<앵커&> 서울 모든 지역과 경기 12곳을 규제 지역으로 묶은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지 한 달 지났습니다. 규제를 피해 간 지역에 거래량이 늘고 가격도 들썩이는 풍선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데요. 유덕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경기 화성 동탄신도시의 940세대 규모 아파트입니다. 10·15 대책 이후 전용 84㎡ 형이 16억 9천만 원 신고가에 팔리는 등 거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락세였던 화성시 아파트 가격은 대책 발표 이후 상승세로 전환했고 그 상승폭도 커졌습니다. 동탄신도시 거래량은 대책 발표 전보다 59%나 급증했습니다. [연영주/경기 화성 동탄 공인중개사 : (10·15 대책 직후) 매우 빠른 매매. 그러니까 보고 바로 사고 보고 바로 사고 거래가 그렇게 활발하게 (이뤄졌습니다.)] 서울과 인접한 구리도 마찬가지입니다. 대책 직전 대비 거래량은 41%나 늘었고, 역세권 신축 아파트에서는 신고가도 나오고 있습니다. [경기 구리 공인중개사 : (10·15 대책 이후에는) 구리 지역을 이렇게 딱 찍어서 투자하러 오시는 분들도, 실거주 목적으로 아파트를 보고 오시는 분들도 많이 계셨어요.] 비규제 지역이어서 대출 규제 부담이 덜하고, 전세를 끼고 매수하는 '갭투자'도 가능하다 보니 매수세가 몰리고 있는 것입니다. 수원 권선구와 용인 기흥구 등 같은 시 안에서도 규제지역으로 묶이지 않은 구들의 가격 상승 흐름도 확연합니다. 규제지역의 거래량이 급감한 것과 달리 수도권 비규제지역 거래 건수는 22%나 늘었습니다. [윤지해/부동산R114 리서치랩장 : 서울 경계에 위치한 경기 지역 혹은 인천 쪽 이런 쪽들은 서울 출퇴근이 가능하니까 같은 선상에서 '똘똘한 한 채' 이슈가 있는 거고요.] [박원갑/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 : (풍선효과) 추세는 조금 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무주택자의 불안심리가 심한데 체감적으로 공급이 크게 늘어난다는 신호가 있어야 안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국토부는 시장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고 있다며, 풍선효과 확대 시 추가 규제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영상취재 : 조창현, 영상편집 : 윤태호, 디자인 : 김한길·박소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