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83,752
토스뱅크, 3분기 순익 814억 '사상 최대'… 수익·포용 모두 달성 토스뱅크, 3분기 순익 814억 '사상 최대'… 수익·포용 모두 달성 등록일2025.11.28 토스뱅크가 올 3분기 경영공시를 통해 당기순이익 81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동기(345억원) 대비 136.24% 증가한 역대 최대 실적입니다. 토스뱅크는 올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814억원으로 전년동기(345억원) 대비 136.24% 증가했다고 오늘(28일) 밝혔습니다. 토스뱅크에 따르면 3분기 기준 고객 수는 1370만명으로 전년 동기(1110만명) 대비 23%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자체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981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3% 늘었습니다. 전체 고객 수는 11월말 현재 1400만명을 넘어섰습니다. 3분기 비이자수익은 1296억원으로 전년 동기(854억원) 대비 52% 확대됐습니다. 목돈굴리기(WM) 부문은 누적 연계금액 20조원을 넘어섰고, 9개 제휴사와 2000여개 상품을 제휴하며 전년 대비 39% 성장했습니다. 캐시백에 기반한 체크카드와 상업자표시신용카드(PLCC) 결제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하며 전체 수수료수익의 72%를 견인했습니다. 토스뱅크는 3분기 누적 3442억원의 운용 수익을 확보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11.38% 증가하며 수익원 다양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전체 이자수익 중 자금운용 이자수익이 약 32%를 차지했습니다. 수수료 비용을 포함한 비이자이익은 –334억원으로 적자를 나타냈습니다. 전년 동기(-434억원) 대비로는 적자폭을 23% 이상 축소했습니다. 3분기 기준 여신잔액은 15조4500억원, 수신잔액은 30조400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총 자산은 33조28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보증부 대출 비중은 36.1%로 확대되며 전년 동기(22.4%) 대비 큰 폭으로 개선됐습니다. 명목 순이자마진(NIM)은 2.56%로 전년 동기(2.49%) 대비 0.07%포인트(p) 상승했습니다. 3분기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35.2%입니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출범 이후 누적 9조5000억원을 시장에 공급하며 금융 취약계층의 자금 접근성을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고객 접근성 확대와 지방은행과의 상생 모델 성과도 두드러졌습니다. 인터넷은행 최초로 선보인 개인사업자 대상 &'사장님 대출&'은 출시 이후 7만명에게 3조5000억원을, 광주은행과의 은행 최초 &'함께대출&'은 1조3000억원을 각각 공급했습니다. 자본건전성은 개선세를 지속하고 있고 손실흡수능력은 견고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분기 기준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309.7%로 전년 동기(230%) 대비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연체율은 1.07%로 전 분기(1.20%) 대비 하락했습니다. 고정이하여신비율(NPL)은 0.84%입니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16.55%로 전년 동기(15.62%) 대비 0.93%p 상승했습니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대출 성장의 한계와 경기의 불확실성 속 은행 본연의 경쟁력을 강화하며 &'경계없는 포용&'이라는 가치를 꾸준히 실현해 나가고 있다&'며 &'고객 중심의 혁신을 지속하고 플랫폼 기반 금융 생태계 확장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단독] 무궁화캐피탈 회생절차 착수…PF 부실로 부동산시장 불안감 확산 [단독] 무궁화캐피탈 회생절차 착수…PF 부실로 부동산시장 불안감 확산 등록일2025.11.28 [앵커] 무궁화신탁의 계열사인 무궁화캐피탈이 회생절차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회사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PF 대출을 공급해 왔던 회사인데 건설업과 금융권 전체를 뒤흔들었던 PF 유동성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단독 취재한 기자 기자 연결합니다. 박연신 기자, 우선 정확한 회생 상황부터 전해주시죠. [기자] 서울회생법원이 어제(27일) 오후 2시를 기준으로 무궁화캐피탈의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하고 관련 일정을 공식 공고했습니다. 공고에 따르면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은 내년 1월 16일까지입니다. 무궁화신탁은 자본 확충과 자산 매각을 통해 다음 달 15일까지 재무구조 개선안을 이행해야 하는데요. 무궁화캐피탈은 이달 초 이미 금융당국으로부터 경영개선명령을 받은 바 있습니다. PF 대출 비중이 높은 여전업권의 건전성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단기간 내 유동성 확보에 실패하면서 회생 절차에 돌입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앵커] 이 문제가 한 개 회사의 문제로 끝날지 아니면 PF 시장과 부동산 사업장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될지가 관건인데, 우려되는 점이 뭡니까? [기자] 시장에서는 단기적으로 PF 시장의 유동성 부담이 더 커질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무궁화캐피탈은 그동안 중·소규모 시행사 중심으로 PF 대출을 공급해 왔기 때문에, 자금 집행이 지연될 경우 일부 사업장에서 공정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데요. 특히 회생 절차가 시작되면 기존 대출의 연장이나 재조정이 늦어질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공사비 지급 일정이 밀리면서 시공·자재 조달 등 공정 전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업계에서는 특히 미분양·미착공 비중이 높은 지방권 PF 사업장을 중심으로 유동성 부족이 먼저 드러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SBS Biz 박연신입니다.
다 막힌 줄 알았죠?…10억 아래는 '생애최초'가 답 다 막힌 줄 알았죠?…10억 아래는 '생애최초'가 답 등록일2025.11.28 [앵커] 이제 대출을 받아야 하는 분들은 금리보다 더 큰 문제가 쪼그라든 한도입니다. 집값은 치솟는데 대출은 부족하니 갈수록 외곽으로 밀려나는 형국인데, 그래도 일부 실수요자에게는 틈새가 남아 있습니다. 어떤 방법이 있는지 취재기자 연결해 보겠습니다. 류선우 기자, 남은 틈새, 어떤 게 있죠? [기자] 10·15 대책의 핵심은 담보인정비율, LTV의 제한입니다. 대출 한도를 집값에 따라서도 최대 6억 원까지로 제한하고, 여기에 규제지역 LTV 40% 제한을 추가로 해 대출 여력이 줄어드는 건데요. 생애최초 구매자는 이 제한을 비껴갈 수 있습니다. 가구 구성원 모두가 과거에 주택을 소유한 사실이 없는 경우에 대해선 정부가 LTV 70%를 유지하고 있어선 데요. 예컨대 서울에서 시가 10억 원짜리 집을 사려면 15억 원 이하 주택이라 6억 원까지 대출이 가능하지만 LTV 규제가 더해지면 집값의 40%인 4억 원까지만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생애최초 구매자라면 집값의 70%까지 받을 수 있어 최대한도인 6억 원을 빌릴 수 있게 됩니다. 다만 1금융권에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이 40%인 점을 고려하면 연 소득은 최소 1억여 원은 넘겨야 합니다. [앵커] 정책대출도 한 방법이죠? [기자] 생애최초 대출은 은행에서 받는 일반 대출 말고도 정책성 대출이 있는데요. 집 가격이 6억 원 이하라면 생애최초 보금자리론을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부부 합산 연 소득 7천만 원 이하인 무주택 가구에 한해 최대 4억 2천만 원까지 연 3% 후반대 금리로 빌려주는 상품인데요. 지난 9월 보금자리론 공급 규모는 1년 새 여섯 배 가까이 늘어 2조 원을 넘겼습니다. 대출 규제로 한도를 산정할 때 스트레스 금리가 붙으면서 한도가 축소되는 효과가 있는데 보금자리론은 DSR 규제적용을 받지 않아 연 소득 7천만 원 이하인 경우 일반 주담대보다 더 많은 돈을 빌릴 수 있습니다. 또 시장 금리가 오르면서 주담대 상단이 6%대까지 치솟은 상황에서 계속 3%대로 머무는 금리도 인기 요인입니다. SBS Biz 류선우입니다.
'매출 올랐으니 이자 깎아달라'…여기로 신청하면 뚝딱 '매출 올랐으니 이자 깎아달라'…여기로 신청하면 뚝딱 등록일2025.11.28 [앵커] 각종 정부 대책과 은행의 이자 장사 속에 금리 부담이 갈수록 커지는 가운데, 아직 &'금리인하요구권&'을 잘 모르시는 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대출을 받고 나서 소득이 나아지거나 신용점수가 오르면 은행이 알아서 금리를 내려주는 게 아니라 요구를 해야 하는데요. 그런데 앞으로는 이 요구를 대행해 주는 서비스가 본격 도입됩니다. 오서영 기자, 네이버가 대행에 나서죠? [기자] 그렇습니다. 네이버페이는 다음 달 29일부터 &'금리인하요구권 대행 서비스&'를 본격 시작하는데요. 소상공인뿐 아니라 일반 은행 대출을 가진 이용자 모두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다음 달부터는 금리인하 가능성이 있을 때 네이버페이 AI가 자동으로 신청해 줄 전망인데요. 서비스가 시작되면 문자 메시지 등으로 신청 페이지 등이 안내될 것으로 보입니다. 대행 서비스를 신청하면, 네이버페이가 대신 은행과 같은 금융사에 금리인하를 요구해 주고, 그 결과까지 통지해 줍니다. 사전에 금리인하요구 대상 자산을 네이버페이에 연동하는 과정은 필요한데요. 네이버페이 내 &'마이데이터&'로 대출을 연결하면 되며 동의 이후 90일 내 다른 마이데이터 사업자가 제공하는 같은 서비스는 이용이 불가합니다. 특히 신용등급을 매번 일일이 확인하기 힘들거나 은행 갈 시간이 없는 소상공인들 활용이 늘어날 전망입니다. [앵커] 실제로 금리가 떨어지는 효과가 나올까요? [기자] 금융위원회는 이번 제도로 금리인하요구권이 활성화되면 약 1천680억 원의 감면 효과가 있을 거라고 추정했는데요. 다만 금리인하 신청을 받아줄지 여부는 여전히 금융사 몫입니다. 현재까지 전반적 수용률은 10건 중 3건 정도인데요. 이번에 대행 서비스를 하게 되는 네이버페이 등 마이데이터 사업자들은 AI 등을 활용해 인하 요구가 불수용될 경우 그 사유를 파악해 신용등급을 올리기 위해 필요한 것들까지 맞춤형으로 안내할 전망입니다. SBS Biz 오서영입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