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01
어버이날 '0.05g 순금코인' 인기…골드뱅킹도 열풍 어버이날 '0.05g 순금코인' 인기…골드뱅킹</font>도 열풍 등록일2025.05.07 [앵커] 금값 고공행진이 계속되면서 0.05g짜리 &'소수점 골드바&'까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소수점 단위로 금을 사고파는 은행권 골드뱅킹 잔액은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이한나 기자입니다. [기자] 어버이날을 앞두고 동전 형태에 카네이션을 새긴 순금코인이 인기입니다. [이인창 / 종로구 귀금속업체 대표 : 금값이 많이 상승하면서 나온 초저중량 제품인데요. 0.05g부터 나오기 시작해서 2만 원대부터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상당히 인기가 많고 전체가 품절이 돼서 판매를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최근 국제금값은 온스당 3400달러를 넘기는 등 지난달 사상 처음 3200달러를 넘긴 이후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국내외 불확실성에 안전자산인 금값이 치솟자 투자자들 사이에서 &'소수점&' 거래도 인기입니다. 은행 계좌를 통해 0.01g 단위로 금을 사고팔 수 있는 은행권 골드뱅킹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1조 1025억 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KB국민·신한·하나 등 5대 은행이 판매하는 골드바 역시 중량이 적은 10g·100g 상품이 인기를 끌면서 예약 판매로 전환되는 등 제한이 생겼습니다. [김정식 /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 앞으로 미국 관세 정책 때문에 세계 경기가 침체되고 수출이 줄어들면서 경기를 회복시키기 위해서 저금리 정책을 쓸 가능성이 높거든요. 돈이 풀리면 금값은 앞으로도 더 올라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지시간 7일 미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결정을 앞두고 국제금값은 3400달러를 다시 회복하는 등 사상 최고치 수준에 다시 근접했습니다. 금리 유지가 유력한 가운데,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비둘기파 성향으로 입장을 선회한다면 금값이 추가로 더 오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SBS Biz 이한나입니다.
금값 고공행진에 골드뱅킹 잔액 또 역대 최대…1.1조원 넘어 금값 고공행진에 골드뱅킹</font> 잔액 또 역대 최대…1.1조원 넘어 등록일2025.05.06 금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은행권 골드뱅킹 잔액은 사상 처음으로 1조1천억원을 넘어섰습니다. 골드바도 &'품귀 현상&'에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6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골드뱅킹 잔액은 1조1천25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 3월 말(1조265억원)과 비교해, 한 달 새 760억원 늘었으며, 1년 전인 지난해 4월 말(6천101억원)의 1.8배 수준입니다. 골드뱅킹은 통장 계좌를 통해 금을 사고팔 수 있는 상품입니다. 3개 은행의 골드뱅킹 잔액은 2023년부터 지난해 상반기까지는 5천억∼6천억원대를 유지하다가 하반기부터 급증하기 시작해 지난 3월에는 사상 처음으로 1조원을 넘어섰습니다. 골드뱅킹이 인기를 끈 것은 국내외 불확실성 속에 안전자산인 금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입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RX 금시장에서 지난 2일 1㎏짜리 금 현물은 1g당 14만8천27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지난 2월 14일 기록한 고점인 16만8천500원보다 낮지만, 지난해 말(12만7천850원)과 비교하면 16.3% 뛰었습니다. 국제 금 가격은 지난달 22일 현물 기준으로 온스당 3,500달러를 사상 처음으로 넘어서기도 했습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최근 골드뱅킹 잔액도 계속 늘고 있고 골드바 판매도 다시 증가하는 분위기&'라고 전했습니다. 골드바도 품귀 현상이 계속되고 있지만, 판매량은 꾸준합니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골드바 판매액은 348억7천200만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골드바 수급 문제로 여러 은행에서 판매를 중단했던 지난 3월(386억4천만원)과 비슷하지만, 1년 전인 지난해 4월(89억8천300만원)의 3.9배 수준입니다. 5대 은행의 월별 골드바 판매액은 지난해 5월 100억원대를 넘어선 뒤 100억∼200억대를 기록하다가 올해 2월 882억9천300만원으로 폭증했습니다. 골드바 판매량이 급증하자 한국조폐공사와 한국금거래소 등은 수급 불안정을 이유로 판매를 일시 중단했고, 골드바 &'품귀 현상&'이 벌어졌습니다. 지난달부터 한국금거래소의 1㎏ 상품 등이 일부 은행에서 판매 재개됐지만 여전히 제한이 있는 상황입니다. 국민·우리은행은 한국금거래소의 1㎏ 골드바만, 하나은행은 한국금거래소와 LS MnM의 1㎏ 골드바만 판매 중입니다. 신한은행의 경우 LS MnM의 10g·100g·1㎏ 골드바와 한국금거래소의 1g·3.75g·37.5g 골드바를 판매해왔는데, 10g과 100g 상품은 재고가 소진돼 최근 예약판매로 전환했습니다. NH농협은행은 한국금거래소의 3.75g·10g·100g·1㎏ 골드바와 삼성금거래소의 37.5g·187.5g·375g 골드바를 판매 중입니다. 다만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이번 주 한국조폐공사 골드바 판매를 재개할 예정입니다. 하나은행은 7일부터 한국조폐공사 골드바 4종(3.75g·100g·500g·1㎏)을, 우리은행은 8일부터 한국조폐공사 골드바 5종(3.75g·100g·375g·500g·1㎏)을 판매합니다.
[마켓 프리뷰] 기업실적 시즌 돌입 속 강보합 마감…트럼프 리스크 촉각 [마켓 프리뷰] 기업실적 시즌 돌입 속 강보합 마감…트럼프 리스크 촉각 등록일2025.04.22 ■ 모닝벨 &'마켓 프리뷰&' - 송재경 디멘젼투자자문 투자부문 대표 Q. 밤사이 뉴욕증시가 흔들리기 전에 어제(21일) 국내 증시는 코스피와 코스닥이 혼조세로 거래를 마쳤습니다.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앞두고 관망세가 짙어진 모습인데, 어제 장 어떻게 보셨나요? - 코스피 강보합 마감…관세협상 관망세에 &'숨고르기&' - 코스피, 전일대비 0.20% 상승…2488.42 마감 - 오전 한때 2500선 목전…외국인 &'팔자&' 상승폭 반납 - 외국인 2887억원 순매도…기관·개인 순매수 방어 - 미국, 한국·EU·일본 등 주요국 관세 협상에 관망세 - 한국, 24일 밤부터 대미 상호관세 협상 시작 예상 - &'관세 리스크&' 정점 지나 안정세 진입 기대감 영향도 - &'일부 상호관세 면제&' VS &'협상 장기전&' 의견분분 - SK하이닉스 등 후반 주요 기업 1분기 실적 발표 예고 - 코스닥, 전일대비 0.32% 하락 마감…715.45 기록 Q.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을 향한 압박 강도를 높이면서 시장 불안감이 커졌습니다. 특히 달러 가치가 낙폭을 키우고 있는데요.앞으로 환율 흐름은 어떨까요? - 99선 깨진 달러인덱스…달러·원 1410원 후반대 마감 - 달러·원, 주간 종가 기준 4.2원↓…1419.1원 기록 - 금리 인하 버티는 파월…뿔난 트럼프 사퇴 압박 - 트럼프 &'연준 때리기&'에 &'셀 아메리카&' 확대 - 연준 독립성에 의구심…달러화 지위 믿음 &'흔들&' - 달러화 약세 부추긴 트럼프…달러화 3년 만에 최악 - 트럼프, 파월 향해 &'패배자&'…&'당장 금리 인하하라&' - 엔·원 재정환율, 100엔당 1007.70원…7.66원↑ - 달러·엔 환율, 1.37엔 하락…달러 당 140엔 근접 - &'이젠 달러보다 엔화&'…엔화 가치 7개월 만 &'최고치&' - 올 초 달러·엔 160엔대 기록…관세정책 발표 후 급락 - 안전자산 꼽히던 달러화 약세…엔화, 대체자산 급부상 - 엔화로 몰리는 글로벌 자금… 엔캐리 청산 공포 우려도 - BOJ 금리인상·관세 불확실성…&'엔화 강세 자극할 듯&' - 연초 엔화 매수세 지속…&'블랙먼데이 재현 우려 적어&' - 전문가 &'전체 엔 캐리 트레이드 규모 크게 줄진 않아&' - 전문가 &'日 금리 인상 기조 본격화시 안심할 수 없어&' Q. 국제 금값은 이제 온스당 3천400달러도 넘어섰습니다. 어디까지 오를지, 이제라도 금 투자를 해야 하나 고민하는 분들 많은 것 같습니다. 금값 흐름은 어떻게 보시나요? - 금값 3,400달러 돌파…골드만 &'내년 4000달러&' - 美관세정책에 세계 경제 불확실성 지속…금 인기 지속 - 금 현물, 장중 3,393.34달러…사상 최고치 경신 - 올들어 금 현물 29% 이상↑…최근 저점대비 14%↑ - 경기 침체 우려 속 미 달러 표시 자산 매도 움직임 - 각국 중앙은행 금 매집 지속…금 ETF 자금 유입 지속 - 트럼프, 파월 사임 압박도 금값 &'고공행진&'에 영향 - 미 NEC 위원장 &'파월 해임 문제 계속 검토할 것&' - 전문가 &'파월 해임, 연준 독립성 훼손…시장 불안&' - 금테크 폭발…골드뱅킹·골드바 투자 러시 &'우르르&' - 국내 5대 은행 골드바 판매액, 작년 연간 실적 초과 - 금통장 잔액 1조 돌파…3개월만에 2300억원 상승 - 전문가 &'투자 목적 확실해야…파생상품 변동성 주의&' Q. 트럼프 대통령이 비관세 부정행위 8가지 유형을 올렸습니다. 우리로선 상당히 신경이 쓰이는 부분인데, 여기에 앞서 짚어본 파월 때리기까지 겹쳐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입니다. 오늘(22일) 투자전략, 어떻게 짜야 할까요? - 트럼프, 비관세 장벽 8가지 지목…韓 협상압박 시사 - 트럼프, 비관세 장벽 불만 표출…&'부정행위&' 주장 - 한·미 &'2+2 고위급 통상 협상&' 예정…&'한국 부담&' - 나바로, 지난 7일 &'중요한 것은 비관세 사기&' 언급 - 한국, 지난해 11월 &'환율 관찰 대상&' 재지정 - 달러 대비 원화 가치 하락…관찰대상국 유지 유력 - 트럼프 행정부, 한국에 &'환율&' 협상카드 가능성도 - 한·미 관세 협상 앞두고 관망세…투자 전략 방향은?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