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 sk하이닉스
  • 트럼프
  • 기자
  • 환율
  • 나나
  • sbs
  • 트럼프 리스크
  • 지수
  • 장광
뉴스14,253
  • 전체
  • SBS 뉴스
  • SBS Biz
  • SBS 연예스포츠
환율 계속 치솟자, 구윤철 가용 수단 적극 활용 환율 계속 치솟자, 구윤철  가용 수단 적극 활용 등록일2025.11.14 [앵커] 달러-원 환율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며 불확실성을 키우자, 외환 당국이 개입 의지를 밝혔습니다. 치솟은 환율 탓에 수입 물가는 다시 고개를 들고 있는데요. 다시 소비자물가를 끌어올리는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어, 우려가 큽니다.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신성우 기자, 외환 당국이 구두 개입에 나섰는데, 현재 환율 상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달러-원 환율은 오전 11시 28분 기준 1,459원 30전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환율은 1,471원선에서 출발하며 상승세를 보이다 외환 당국의 구두 개입성 발언 직후 방향을 바꿔 급락하기 시작했는데요. 구윤철 부총리를 비롯한 금융, 통화당국 수장들은 오전 시장 상황 점검 회의를 열고 환율 안정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참석자들은 &'구조적인 외환 수급 개선이 필요하다&'라며, &'가용 수단을 적극 활용해 대처할 필요성이 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당국은 국민연금, 수출업체 등 주요 수급 주체들과 안정 방안을 긴밀하게 논의할 예정입니다. [앵커] 환율이 치솟자 수입 물가도 덩달아 뛰고 있죠? [기자] 지난달 수입 물가는 전월 대비 1.9% 오르며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지난 1월 이후 9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인데요. 국제유가가 한 달 사이 7% 넘게 하락했음에도 환율이 뛰며 수입 물가를 자극했습니다. 세부 품목별로 살펴보면, 암모니아 등 화학제품과 1차 금속제품 등이 10%가 넘는 상승률을 보이며 크게 뛰었고요. 농산품 중에서는 소고기가 3.3% 상승했습니다. 한국은행은 수입 물가 방향을 예단하긴 어려우나 고환율로 인해 불확실성이 지속될 전망이라고 밝혔습니다. SBS Biz 신성우입니다.
외환당국 외환 불확실성 우려…국민연금·수출업체와 긴밀논의 외환당국  외환 불확실성 우려…국민연금</font>·수출업체와 긴밀논의 등록일2025.11.14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시장상황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금융·통화당국 수장들이 외환시장 불확실성 확대에 우려를 드러내면서 가용수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이억원 금융위원장, 이찬진 금융감독원장과 시장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하고 금융시장 동향을 점검했습니다. 기재부에 따르면 참석자들은 국내 주식시장은 단기 변동성은 있으나 전반적으로 안정된 모습이며, 채권시장은 향후 금리흐름에 대한 시장의 기대변화 등으로 국채금리가 상승했지만 내년 세계국채지수 편입 등을 고려할 때 국채 수요기반은 견조하다 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외환시장과 관련해 거주자들의 해외투자 확대 등으로 원/달러 환율이 한때 1,470원을 상회하는 등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 이라고 우려를 드러내면서 구조적인 외환수급 개선이 필요하다 고 의견을 모았습니다. 그러면서 해외투자에 따른 외환수급 불균형이 지속되는 경우, 시장참가자들의 원화 약세 기대가 고착화되면서 환율의 하방경직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며 가용수단을 적극 활용해 대처할 필요성이 있다 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외환·금융당국은 국민경제와 금융·외환시장의 안정을 위해 환율상승 원인을 면밀히 분석하고, 국민연금과 수출업체 등 주요 수급주체들과 긴밀히 논의해 환율 안정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기재부는 전했습니다.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연합뉴스)
안정 방안 마련 당국 메시지에 환율 급락…1450원대 후반  안정 방안 마련  당국 메시지에 환율 급락…1450원대 후반 등록일2025.11.14 달러-원 환율이 장 초반 1450원대까지 떨어졌습니다. 환율은 오늘(14일) 오전 9시 40분 기준 어제 주간거래 종가보다 11.3원 하락한 1456.30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오늘 환율은 1471.9원에 개장했습니다. 그러나 환율 안정을 위해 가용수단을 적극 활용하겠다는 외환 당국의 발언이 나온 뒤 방향을 바꿔 급락하기 시작했습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오늘 오전 한국은행 총재, 금융위원장, 금융감독원 원장과 함께 시장 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습니다.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거주자들의 해외투자 확대 등으로 환율이 한때 1470원을 상회하는 등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구조적인 외환수급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모았습니다. 이어 &'해외투자에 따른 외환수급 불균형이 지속되는 경우, 시장참가자들의 원화 약세 기대가 고착화되면서 환율의 하방경직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가용수단을 적극 활용해 대처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으로 외환·금융당국은 국민연금과 수출업체 등 주요 수급주체들과 긴밀히 논의해 환율 안정 방안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구 부총리 외환 불확실성 확대…국민연금 등과 긴밀히 논의 구 부총리  외환 불확실성 확대…국민연금</font> 등과 긴밀히 논의 등록일2025.11.14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국민연금과 수출업체 등 주요 수급 주체들과 긴밀히 논의해 환율 안정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구 부총리는 오늘(14일) 열린 시장상황점검회의에서 &'앞으로 외환·금융당극은 국민 경제와 금융·외환시장의 안정을 위해 환율 상승 원인에 대해 면밀히 분석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회의에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이억원 금융위원장,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참석했습니다. 참석자들은 최근 거주자들의 해외투자 확대 등으로 달러-원 환율이 한때 달러당 1천470원을 넘는 등 외환시장에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구조적인 외환 수급 개선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습니다. 최근 국내 주식시장에 대해서는 &'단기 변동성은 있으나 전반적으로 안정된 모습&'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채권 시장에 대해선 &'국채 금리가 상승했으나, 2026년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등을 고려할 때 우리 국채에 대한 수요 기반은 견조하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는 &'해외투자에 따른 외환 수급 불균형이 지속되는 경우 시장 참가자들의 원화 약세 기대가 고착화돼 환율 하방 경직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가용 수단을 적극 활용해 대처해 나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외환당국 외환 불확실성 우려…국민연금·수출업체와 긴밀 논의 외환당국  외환 불확실성 우려…국민연금</font>·수출업체와 긴밀 논의 등록일2025.11.14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7기 중장기전략위원회 출범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금융·통화 당국 수장들이 외환시장 불확실성 확대에 우려를 드러내면서 가용 수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구윤철 부총리는 오늘(14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이억원 금융위원장, 이찬진 금융감독원장과 시장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하고 금융시장 동향을 점검했습니다. 참석자들은 국내 주식시장은 단기 변동성은 있으나 전반적으로 안정된 모습이며, 채권시장은 향후 금리 흐름에 대한 시장의 기대 변화 등으로 국채 금리가 상승했지만 내년 세계국채지수 편입 등을 고려할 때 국채 수요 기반은 견조하다 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외환시장에 관해 거주자들의 해외 투자 확대 등으로 원/달러 환율이 한때 1,470원을 상회하는 등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 이라고 우려를 드러내면서 구조적인 외환 수급 개선이 필요하다 는 의견을 모았습니다. 그러면서 해외 투자에 따른 외환 수급 불균형이 지속되는 경우, 시장 참가자들의 원화 약세 기대가 고착화되면서 환율의 하방 경직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며 가용 수단을 적극 활용해 대처할 필요성이 있다 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외환·금융 당국은 국민 경제와 금융·외환시장의 안정을 위해 환율 상승 원인을 면밀히 분석하고, 국민연금과 수출업체 등 주요 수급 주체들과 긴밀히 논의해 환율 안정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기재부는 전했습니다.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연합뉴스)
수입 없는 데 어쩌나 …은퇴 60대 급전 필요한데 막히나  수입 없는 데 어쩌나 …은퇴 60대 급전 필요한데 막히나 등록일2025.11.14 [앵커] 어르신들의 전월세 급전 창구인 국민연금공단의 &'실버론&' 문턱이 높아집니다. 시중보다 낮은 연 2%대 금리로 대출해주다 보니 예상보다 많은 어르신들이 몰리면서 추가 대출에 제한을 두는 방안이 추진됩니다. 이정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실버론을 받는 어르신 열에 여섯 명은 치솟는 전월세 보증금을 충당하기 위해섭니다. 그런데 앞으로는 한번 실버론을 받았다면 모두 상환했더라도 추가로 실버론을 받기 힘들어집니다. 급전 창구가 막힐 수 있단 소식에 어르신들은 막막하기만 합니다. [박철호 / 서울 영등포구 : 얼마나 답답하면 그걸 빌리겠어. 안 빌렸으면 몰라도 (다시) 빌리는 걸 이제 와서 끊어버리면…] [문종두 / 경기 부천시 : (일반 금융기관은) 이자 비싸고, 돈 100만 원도 아쉬워서 급전 잘못 빌려가지고 패가망신하고 그러잖아요.] 실버론은 국민연금공단이 만 60세 이상 연금 수급자를 대상으로 전월세 보증금과 의료비, 재해복구비 등의 명목으로 최대 1천만 원을 2%대 이자율로 빌려주는 겁니다. 올해 380억 원 예산이 책정됐는데 어르신들이 몰리면서 7월 초에 예산이 전부 소진됐습니다. 이후 재개되긴 했지만 공단은 전월세 보증금 명목으로 실버론 1천만 원을 빌렸다 갚은 경우 같은 명목의 추가 대출을 제한할 방침입니다. [강성진 /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다른 의도를 가지고 원래 목적 아닌 걸로 투자하는 경우, 빌리는 경우는 막을 수 있지만 복지 혜택이고 회원(가입자)에 대한 거기 때문에, 경제가 어려워서 1천만 원 정도를 더 빌린다고 할 때 굳이 그렇게 막을 필요는 있나…] 공단은 실버론 신규 신청자에 기회를 주기 위한 차원이라며 이와 함께 모바일 신청 범위를 확대하는 등 어르신들의 편의성을 높인다는 설명입니다. SBS Biz 이정민입니다.
달러-원 환율, 1467.6원에 마감…장중 1475원 '터치' 달러-원 환율, 1467.6원에 마감…장중 1475원 '터치' 등록일2025.11.13 달러-원 환율이 장중 1475원까지 치솟았다가 급격히 방향을 트는 등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였습니다. 오늘(13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거래일보다 2.0원 오른 1467.6원을 기록했습니다. 3거래일 연속 상승세입니다. 환율은 전날보다 3.3원 오른 1469.0원에서 출발해 가파르게 올랐습니다. 엔화가 약세를 보인 데다가,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이 순매도세를 보였기 때문입니다. 환율은 오전 중 1475.4원까지 치솟으며 지난 4월 9일 이후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다 미 연방하원이 연방정부 셧다운 해제를 위한 임시예산안 수정안을 통과시킨 10시 30분 무렵부터 상승 폭이 축소됐고 한 때 1465.3원으로 전날보다 낮아졌습니다. 그러다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임시예산안에 서명해 역대 최장(43일) 이어진 셧다운이 공식 종료된 정오 무렵엔 다시 방향을 틀어 소폭 상승한 채 주간 장을 마쳤습니다. 환율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환율이 1480원대 정도로 오르면 당국 개입물량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문다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1480원대에서는 국민연금의 전략적 환 헤지나 당국의 미세조정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며, &'급격한 환율 추가 상승은 제한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9월까지 나라살림 적자 102.4조원…역대 두 번째 규모 9월까지 나라살림 적자 102.4조원…역대 두 번째 규모 등록일2025.11.13 올해 9월까지 나라살림 적자 규모가 1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대규모 재정이 집행됐던 2020년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수준입니다. 오늘(13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11월호&'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총수입은 480조7천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1조4천억원 늘었습니다. 작년까지 부진을 거듭했던 기업실적이 개선되면서 법인세가 21조4천억원 늘어난 영향이 컸습니다. 성과급 지급 확대, 해외주식 호조 등으로 소득세도 10조2천억원 늘면서 총수입 증가세를 견인했습니다. 세외수입은 2조2천억원 늘어난 24조7천억원, 기금수입은 4조9천억원 늘어난 166조5천억원이었습니다. 8월까지 총지출은 544조2천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2차 추가경정예산 대비 지출 진도율은 77.4%입니다.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63조5천억원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을 차감한 관리재정수지는 102조4천억원 적자였습니다. 2020년 108조4천억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많습니다. 작년 같은 기간(91조5천억원 적자)과 비교하면 11조원 적자 폭이 더 커졌습니다. 지난 7월부터 2차 추경 집행이 본격화한 영향입니다. 기재부 관계자는 &'관리재정수지 적자 규모는 연간 기준으로 약 111조원 수준이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국가채무(중앙정부 기준)는 1천259조원으로 전달보다 1조9천억원 줄었습니다. 1∼10월 국고채 발행량은 205조2천억원으로 연간 총 발행한도의 88.8% 수준입니다. 10월 평균 조달금리는 2.68%로 전월(2.61%)보다 상승했으며, 평균 응찰률은 262%로 전월(264%) 대비 하락했습니다. 10월 외국인 국고채는 1조1천억원 순유입됐습니다.
한국투자증권 달러-원 환율 1480원 도달 시 당국 미세조정 가능성 한국투자증권  달러-원 환율 1480원 도달 시 당국 미세조정 가능성 등록일2025.11.13 한국투자증권은 달러-원 환율이 1480원대에 이를 경우 환 헤지나 당국의 미세조정 가능성이 있어 급격한 환율 추가 상승은 제한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문다운 연구원은 오늘(13일) 보고서에서 &'최근 급격한 달러-원 상승에는 거주자 해외 투자에 따른 달러 수요 확대가 기여한 부분이 크다&'고 짚었습니다. 이어 &'거주자 해외 투자가 급격하게 확대되면서 단기적으로 추가적인 원화 약세에 대한 기대가 자리 잡게 된다&'며 &'이때 수출 업체들은 단기 환율 고점에서 달러를 매도하기 위해 가지고 있는 달러를 보유하려는 유인이 확대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문다운 연구원은 &'이렇게 수급이 쏠려서 환율이 한 번 레벨을 높인 이상 다음 유의미한 상단은 계엄 당시 진입했던 전고점 1480원&'이라며 &'일부는 1500원까지 상승을 예상하지만 달러 인덱스가 추가로 상승하지 않는다면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1480원대에서는 국민연금의 전략적 환 헤지나 당국의 미세조정도 나올 가능성이 있어 급격한 환율 추가 상승은 제한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문다운 연구원은 또 &'환율 상승세 진정을 위해서는 강달러 압력이 뚜렷하게 완화될 필요가 있는데, 하락 전환의 계기로 이르면 다음주 중 발표될 미국 9월 고용 보고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한투증권 환율 1480원대 도달 시 환헤지·당국 미세조정 예상 한투증권  환율 1480원대 도달 시 환헤지·당국 미세조정 예상 등록일2025.11.13 한국투자증권은 오늘(13일) 달러-원 환율이 1480원대에 이를 경우 환 헤지나 당국의 미세조정 가능성이 있어 급격한 환율 추가 상승은 제한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전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 거래일보다 2.4원 오른 1465.7원을 기록했습니다. 장 중 한때 1470원을 터치하는 등 최근 들어 환율이 크게 오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문다운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최근 급격한 달러-원 상승에는 거주자 해외 투자에 따른 달러 수요 확대가 기여한 부분이 크다&'고 짚었습니다. 그는 &'거주자 해외 투자가 급격하게 확대되면서 단기적으로 추가적인 원화 약세에 대한 기대가 자리 잡게 된다&'며 &'이때 수출 업체들은 단기 환율 고점에서 달러를 매도하기 위해 가지고 있는 달러를 보유하려는 유인이 확대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이런 환율의 움직임은 3분기 한국 GDP(국내총생산) 서프라이즈, 미국과의 금리 차이 축소, 반도체 수출 호조 등 펀더멘털과는 괴리가 벌어진 상황&'이라며 &'기대와 수급이 만들어낸 쏠림&'이라고 진단했습니다. 그는 &'이렇게 수급이 쏠려서 환율이 한 번 레벨을 높인 이상 다음 유의미한 상단은 계엄 당시 진입했던 전고점 1,480원&'이라며 &'일부는 1500원까지 상승을 예상하지만 달러 인덱스가 추가로 상승하지 않는다면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말했습니다. 더불어 그는 &'1480원대에서는 국민연금의 전략적 환 헤지나 당국의 미세조정도 나올 가능성이 있어 급격한 환율 추가 상승은 제한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환율 상승세 진정을 위해서는 강달러 압력이 뚜렷하게 완화될 필요가 있는데, 하락 전환의 트리거(계기)로 이르면 다음 주 중 발표될 미국 9월 고용 보고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