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어릴수록 뱃살에 신경 써야… 10대 고혈압 위험 3배
등록일2025.04.16
▲ 소아 비만 비만은 고혈압의 발생 및 악화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 중 하나로 꼽힙니다. 체지방량이 많아지면서 신장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승할 뿐 아니라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거나 신장의 나트륨 배설 능력을 떨어뜨리는 것도 혈압을 높이는 요인입니다. 이처럼 비만이 혈압에 미치는 나쁜 영향은 아이들에겐 더 치명적입니다. 어린 시절 비만으로 고혈압이 너무 일찍 발생하면 어른이 됐을 때 심장마비,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신부전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성이 그만큼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최근에는 소아·청소년의 비만 중에서도 복부비만이 고혈압 발생에 더 큰 위험 요인임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습니다. 차의과학대 분당차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성혜 교수 연구팀은 2007∼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0∼18세의 과체중·비만 소아·청소년 1만 1천554명을 상대로 분석한 결과 복부비만과 고혈압 사이에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오늘(16일) 밝혔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바이오메드 센트럴 소아과학'(BMC pediatrics) 최신호에 발표됐습니다. 이번 연구에서 전체 참여자의 과체중·비만, 고혈압 유병률은 각각 25.11%, 10.46%였습니다. 하지만 과체중·비만에 해당하는 소아·청소년만 봤을 때는 고혈압 유병률이 17.6%로 더 높았습니다. 과체중·비만 그룹의 고혈압 유병률이 전체 그룹보다 1.5∼2배가량 높았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입니다. 연구팀은 허리둘레와 키의 비율(WHtR)이 0.5 이상인 경우를 복부비만으로 정의하고 복부비만이 고혈압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별도로 살폈습니다. 이 결과 복부비만인 소아·청소년은 복부비만이 없는 소아·청소년보다 수축기와 확장기 혈압이 유의하게 높았습니다. 이런 경향은 남자 소아·청소년에서 두드러졌는데, 연구팀은 비만한 남자 소아·청소년이 복부비만을 동반했을 때의 고혈압 발생 위험이 복부비만이 없는 경우에 견줘 2.32배 높은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특히 고도비만 상태에서 복부비만을 동반한 경우에는 같은 비교 조건에서 고혈압 발생 위험이 3.12배까지 높아졌습니다. 전문가들은 탄산음료 등의 당 섭취 증가, 야외 놀이의 감소, 불규칙한 수면시간, TV와 컴퓨터 등 미디어 시청 시간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소아·청소년의 비만과 복부비만을 부추긴다고 지적합니다. 실제로 대한비만학회가 집계한 통계를 보면 국내 소아·청소년의 복부비만 유병률(2021년 기준)은 남아가 2012년 대비 3.1배 증가한 22.3%, 여아가 1.4배 증가한 12.1%의 유병률을 각각 나타냈습니다. 김성혜 교수는 내장 지방이 과도해지는 복부비만은 인슐린 저항성 증가, 염증 반응 증가, 호르몬 조절 장애 등의 메커니즘을 통해 전체적인 체형 비만보다 더 크게 혈압 상승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소아·청소년기 고혈압을 막으려면 전체적인 체형 비만과 복부비만을 함께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복부 비만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에도 부모 중 고혈압 가족력이 있다면 어릴 때부터 혈압 관리에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부계 고혈압이 있는 아이들은 복부비만이 없어도 고혈압 발생률이 1.66배 증가했다 면서 아동기에는 고혈압이 있어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은 만큼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해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것뿐만 아니라 평소 저염식과 운동 등의 식생활 습관을 통해 비만과 복부비만이 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게 중요하다 고 말했습니다.
결혼 안 하는 이유 달랐다…남성은 비용 부담 , 여성은?
등록일2025.04.14
결혼 의향이 없거나 망설이는 이유로, 미혼남성은 '결혼생활 비용 부담'을, 여성은 '기대에 맞는 상대가 없어서'를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남성은 여성보다 비용이나 소득에 대한 부담이 컸고, 여성은 가부장적 가족 문화나 커리어 저해 우려가 상대적으로 컸습니다. 인구보건복지협회가 발표한 제2차 국민인구행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전국 20∼44세 2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미혼 남성의 41.5%, 미혼 여성의 55.4%는 결혼 의향이 없거나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답했습니다. --- 해양수산부 중앙해양안전심판원과 수협중앙회에 따르면, 작년 어선 사고로 인한 사망 실종자 118명 가운데 외국인 선원은 모두 35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외국인 선원 수는 국내 선원 인력 감소 등의 영향으로 2018년 1만 2천600명에서 작년 1만 4천800여 명으로 늘었습니다. 이에 따라 해수부는 해양 사고 인명 피해 저감 태스크포스를 통해 외국인 인명 피해 축소 방안을 포함한 대책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의 조사 결과, 제로 음료를 제외한 음료류에 들어 있는 1회 제공량당 당류 평균 함량은 22g으로, 세계보건기구 1일 당류 권고섭취량의 44%에 달했습니다. 특히 탄산음료 1캔의 당류 평균 함량은 각설탕 11개 분량에 버금가는 32g으로 조사됐습니다. 탄산음료 중 청소년들이 자주 마시는 에너지음료는 1캔당 당류 평균 함량이 35g으로, 음료 1캔만 마셔도 WHO 당류 권고섭취량의 70%를 섭취하는 셈입니다.
탄산음료 한 캔만 마셔도 세계보건기구 당류 권고량 70%
등록일2025.04.14
▲ 탄산음료 어린이·청소년이 편의점에서 주로 구매하는 음료, 간식 등에 당과 나트륨이 과다하게 들어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10∼12월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음료, 간식, 식사대용 식품 등 다소비식품 91건의 영양성분을 조사한 결과를 오늘(14일) 발표했습니다. 제로 음료를 제외한 음료류에 들어 있는 1회 제공량당 당류 평균 함량은 22g으로 세계보건기구(WHO) 1일 당류 권고섭취량(50g)의 44%에 달했습니다. 특히 탄산음료 1캔의 당류 평균 함량은 각설탕 11개 분량에 버금가는 32g으로 조사됐습니다. 탄산음료 중 청소년들이 자주 마시는 에너지음료는 1캔당 당류 평균 함량이 35g으로, 음료 1캔만 마셔도 WHO 당류 권고섭취량의 70%를 섭취하는 셈입니다. 간식류의 1회 제공량당 당류 평균 함량은 20g으로, 초콜릿 함유 빵은 최대 42g으로 나타났습니다. 편의점에서 파는 식사대용 식품의 1회 제공량당 나트륨 평균 함량은 685㎎(310∼1천333㎎)으로 조사됐습니다. 햄버거, 삼각김밥 등 즉석섭취식품과 소시지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나트륨 함량이 제일 높은 개별 식품은 소시지(1천333㎎/1개)로, WHO 1일 나트륨 권고량(2천㎎)의 67% 수준입니다. 연구원은 이번 조사에서 당류 함량이 표시 기준을 초과한 4개(캔디류 2건, 빵류 1건, 초콜릿가공품 1건)의 제품에 대해 관할 기관에 행정처분을 의뢰했습니다. 박주성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장은 어린이·청소년들은 식품 섭취 전 영양성분을 확인하고, 당·나트륨을 과잉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고 말했습니다.
[증시전략] 코스피, 돌아온 외국인에 2600선 회복…랠리 이어지나
등록일2025.03.18
■ 모닝벨 &'전문가 전화 연결&' - 김민수 레몬리서치 대표 Q. 뉴욕증시 3대 지수가 2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오락가락 관세 정책과 경기침체 우려에 급락했던 시장이 어느 정도 회복한 모습인데요. 어떻게 보셨습니까? - 뉴욕증시, 美 소매판매·베센트 발언 소화…이틀째 상승 - 지난주 경기침체 우려 속 급락 딛고 저가 매수세 유입 - 다우지수 350Pp 상승…S&&P500 0.65% 올라 - &'월가 공포지수&' VIX 6.29% 내린 20.39 - 국제유가, 지정학적 긴장감에 소폭 상승…천연가스 급락 - 美 국채금리 보합권 혼조세…10년물 금리 4.29%대 - 달러화 약세…예상 밑돈 美소매판매에 출렁인 후 제자리 - CFRA &'단기 반발 추세 랠리…5400 조정 마무리&' - &'경험상 강세장에서 발생하는 조정은 좋은 매수 기회&' - 내달 2일 &'상호 관세&' 발표 전까지 불확실성 지속- - GTC 기대에 오른 엔비디아 약세, 젠슨 황 발언 주시 - 테슬라, 미즈호증권의 목표주가 하향에 4.79% 급락 - 어펌, 월마트 BNPL 파트너로 클라르나 선정에 하락 - 펩시코, 기능성 탄산음료 브랜드 포피 인수 소식에 강세 - 美 2월 소매판매 전월대비 0.2% 증가…예상치 밑돌아 - 1월 소매판매 당초 0.9% 감소→1.2% 감소로 수정 - 1월 소매판매 - 1.2% 대비 반등에도 소비 우려 여전 - 관세발 사재기 급증에 따른 기저효과·산불 영향에 급감 - &'1월 소매판매 감소, 너무 과대평가할 필요없다&' 분석 - 2월 소매판매, 경기침체 신호 보다는 완만한 경기 둔화 - 애틀랜타 연은 &'GDP 나우&' 1분기 성장률 - 2.1% - 트럼프 행정부마저 &'경기침체&' 가능성 언급…투심 악화 - 베센트 美재무 &'경기침체 우려 발생 가능…전화기일 뿐&' - NBC &'미트더플레스&' 출연…&'증시 건강한 조정&' 강조 - &'트럼프 정부 시장 활성화 나설 가능성 적어&'로 해석 - 트럼프 &'예멘 후티 반군 공격 배후에 이란이 있다&' - 백악관 &'러와 협상 막바지…10야드 라인 단계에 도달&' - 트럼프, 러- 우크라 국경 인근 전력시설 문제 거론할 것 - 트럼프 &'푸틴과 내일(19일) 아침 통화 예정…시진핑 곧 방미&' Q. 뉴욕증시 향방을 두고는 기대보다는 우려가 큰 상황입니다. 베센트 재무장관이 &'건강한 조정&'이라며 방어에 나섰지만, 월가에선 연말 증시 목표치를 잇따라 하향 조정하고 있습니다. 일각에선 이번 조정이 끝났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 뉴욕증시, 커지는 &'신중론&'…추가 조정이냐, 반등이냐 - RBC, S&&P500 연말 목표 6600→6200 하향 - &'약세장 시나리오&' 기준 연말 목표치 5550 제시 - &'성장세 둔화만으로도 상당한 역풍에 직면…투심 악화&' - 모건스탠리 윌슨 전략가 &'증시 조정 끝났다&' 주장 - 2022년 이후 가장 과매도 상태·달러화 약세 등 거론 - S&&P500지수, 5500 지지선…&'추가 하락 제한적&' - 美증시, 14일부터 반등 이미 시작…퀄리티·고베타 주도 - 투자심리 역대급 위축, 이후 1년간 평균 10% 상승 - BofA 하트넷 전략가, 증시 &'조정 종료&' 신호 제시 - 증시 조정 종료 신호는?…&'고액자산가 대규모 유입&' - 지난주 고액자산가 역대 3번째로 큰 주식 유입 발생 - &'소프트 데이터상의 불안 확인해야, 증시 경계감 계속&' Q. 어제(17일) 코스피는 외국인 매수세 덕분에 2600선을 탈환했습니다. 반도체 대장주 삼성전자가 5% 넘게 뛰어오르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는데요. 코스피 상승 분위기 이어갈 수 있을까요? - 기관·외인 동반 순매수…반도체·방산 업종 중심 랠리 -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대형주 강세, 지수 상승 견인 - &'이재용 각오&' 통했나…삼성전자 주가 5% 이상 급등 - 지난해 말 10조 자사주 매입 발표 이후 최대폭 상승 - SK하이닉스도 4거래일째 랠리…반도체 밸류체인 동반↑ - 삼성전자, 업황 개선 기대감·엔비디아 GTC 효과 덕분 - D램 가격 반등 추세 속 레거시 반도체 턴어라운드 기대 - 중국 이구환신 정책 기대감·美 칩스법 폐기 가능성 낮아 - 코스피, 올해 8.82%↑…세계 증시 대비 상대적 강세 - 방산 대장주 한화에어로, 네이버 누르고 시총 8위로 - 한화에어로, 1987년 상장 이후 &'역대 최고가&' 경신 - 한화에어로, 2015년 한화가 인수한 삼성테크윈이 전신 - 역대급 실적도 주가 상승 견인…올해 전망도 &'장밋빛&' - &'세계 경찰론&' 포기한 트럼프, 유럽서 자력안보 강화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친절한 경제] 탄산음료 판매 부진에 회사 '타격'…17년 만에 희망퇴직도
등록일2025.02.21
&<앵커&> 금요일 친절한 경제 오늘(21일)도 한지연 기자와 함께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요즘 건강 때문에 당 섭취에 신경 쓰는 분들이 늘어나면서 이제 탄산음료를 비롯한 음료 회사들이 큰 타격을 입고 있다고요? &<기자&> 당이 들어간 탄산음료 소비가 많이 줄면서 이 음료 파는 회사에서는 10년 만에 분기적자를 냈고요. 또 이것 파는 회사는 17년 만에 처음으로 희망퇴직을 받았습니다. 롯데칠성음료가 지난해 4분기에 음료 부문에서 낸 영업손실은 자그마치 80억 원입니다. 2015년 이후 10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고요. 지난해 전체 음료부문 영업이익은 1천42억 원으로 전년 대비 35.7% 급감했습니다. 4분기만 보면 주류를 포함한 영업이익은 92억 원으로 증권사 추정치를 67.5%나 밑돌았는데, 탄산음료 매출이 부진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LG생활건강 음료 부문도 지난해 영업이익이 1천681억 원으로 전년보다 21.9% 줄었습니다. 코카콜라음료는 LG생활건강 자회사죠. 2007년에 인수됐는데, 지난해 말에 인수된 후 17년 만에 처음으로 희망퇴직을 신청받았습니다. 코카콜라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건 단연 코카콜라고요. 그다음으로 몬스터 에너지, 파워에이드 순인데, 경쟁사 펩시가 제로음료 점유율을 급격히 늘리면서 코카콜라가 타격을 받은 면이 있습니다. 이렇게 회사들이 힘들어진 건 탄산음료, 당음료 소비가 감소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은데요. 요즘 젊은 층들도 건강을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당음료 잘 안 먹으려고 합니다. 원래 탄산음료 주 소비층이었는데 소비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업계는 파악하고 있습니다. 저당 트렌드는 커피믹스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요. 커피믹스 시장 규모는 매년 줄어들어서 2023년 9천559억 원으로 전년 대비 9.9% 감소했습니다. &<앵커&> 대신에 이 기업들은 저당 음료나 제로 음료를 출시하면서 발 빠르게 전략을 바꾸고 있지 않습니까? &<기자&> 그동안 제로제품을 내놓지 않았던 기업도 제로 마케팅에 열을 올리는 분위기인데요. 동서식품에서도 최근 처음으로 제로커피믹스를 출시를 했습니다. 원래 커피믹스라는 게 피곤할 때 먹으면 눈이 번쩍 뜨일 만큼 당 함류가 높죠. 원래 동서식품은 설탕의 단맛을 완벽하게 구현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제로 커피믹스를 내는데 회의적인 입장이었습니다. 그런데 그 사이 남양유업이 2022년 프렌치카페 믹스 스테비아를 내놓고, 그다음 해에 디카페인 제로를 추가로 출시해서 2년 만에 누적판매 1억 잔을 넘겼습니다. 성장이 정체된 국내 커피믹스 시장에서 저당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니까 동서식품도 부랴부랴 후발주자로 나선 겁니다. 지금 제로 시장은 일회성 유행이 아니라 대세로 자리 잡고 있는 분위기인데요. 국내 제로탄산음료 시장은 2018년 1천630억 원에서 2023년 1조 2천780억 원으로 5년 사이 8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탄산음료뿐 아니라 처음에 탄산음료로 한정됐던 제로 슈거 제품은 과자, 아이스크림에 이어서, 커피, 숙취해소제 소주, 맥주 각종 음식들까지 제품군이 다양해지는 추세입니다. &<앵커&> 저 같은 경우에는 제로 음료를 좀 죄책감 없이 마음 편하게 마시는 편인데 이게 또 과다 섭취하면 심혈관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요? &<기자&> 설탕 대신 들어가는 아스파탐이 혈당은 오르지 않아도 신경세포를 자극해서 인슐린을 분비해서 혈관 건강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겁니다. 인공감미료는 설탕을 대신해서 단맛을 내는데 쓰이는 물질인데. 아스파탐, 에리스톨 스테비아가 대표적입니다. 해당 연구진은 12주간 아스파탐 0.15%가 들어가 있는 음식을 생쥐에 먹인 후에 혈액과 혈관상태를 관찰했는데요. 인간 성인으로 따지면 매일 제로음료 세 캔을 마시는 것과 같은 양입니다. 실험 결과는 혈당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인슐린이 실제로 수치가 올라갔더라는 겁니다. 원래는 주로 설탕같이 당분이 포함된 음식을 먹을 때만 나오는데, 대체당을 먹었을 때도 나온다는 사실이 확인된 건데요. 연구진은 아스파탐 자체가 혈당을 올리지는 않더라도 단맛을 감지하는 신경세포를 자극하고 췌장에서 인슐린의 분비가 증가한다고 봤습니다. 또 인슐린 분비가 늘면, 혈관에 염증을 생기게 해서 동맥경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인간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은 하지 않았다고 하는데요. 그래도 대체당을 과다 섭취했을 때 부작용에 대한 내용은 계속해서 나오고 있기 때문에 적정량만 드시는 게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