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6억 대출규제 직격탄… 집값 상승할 것 기대감 꺾였다
등록일2025.07.23
6·27 부동산 대출 규제 이후 집값 상승 기대가 전보다 크게 약해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3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7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09로, 6월보다 11포인트(p) 하락했습니다. 장기 평균인 107보다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 월간 기준으로 지난 2022년 7월(-16p) 이후 3년 만에 가장 큰 하락폭이었습니다. 1년 뒤 집값 상승을 예상하는 소비자 비중이 그만큼 크게 줄었다는 뜻입니다. 이 지수는 지난 2월 99에서 3월 105, 4월 108, 5월 111, 6월 120 등으로 넉 달 연속 상승했다가 대출 규제 이후인 7월 들어 추세가 꺾였습니다. 이혜영 한은 경제심리조사팀장은 &'가계부채 관리 강화 대책에 따른 주택가격 하락 기대감, 수도권 아파트 매매 가격 오름세 둔화 등이 지수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습니다. 7월 가계부채전망지수도 96으로 6월보다 1p 하락해 지난 2018년 5월(96) 이후 7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장기 평균은 100이었습니다. 6개월 후 가계부채 감소를 예상하는 소비자가 증가를 예상하는 소비자보다 많아졌다는 뜻입니다. 반면, 가계저축전망지수는 전월보다 1p 오른 101로, 2010년 11월(101) 이후 약 15년 만에 가장 높았습니다. 소비 심리는 개선세가 지속됐습니다. 7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10.8로, 6월보다 2.1p 올라 지난 2021년 6월(111.1) 이후 4년여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비상계엄 사태가 있던 지난해 12월 88.2까지 급락했다가 올해 1월 91.2, 2월 95.2 등으로 반등했습니다. 이후 올해 3월 93.4로 주춤했다가 4월 93.8, 5월 101.8, 6월 108.7에 이어 7월까지 넉 달 연속 상승세를 이어왔습니다. 이 팀장은 &'대미 관세 협상 관련 불확실성에도 소비 개선과 수출 호조로 지수가 소폭 상승했다&'고 설명했습니다. 7월 현재경기판단지수는 86으로, 6월보다 12p 상승했습니다. 지난 2020년 11월(+14p) 이후 약 5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입니다. 금리수준전망지수는 기준금리 동결, 주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전월보다 8p 오른 95로 집계됐습니다.
집값 숨고르기에도 현금부자는 재건축 몰렸다
등록일2025.07.17
[앵커] 지난해 상승했던 집값은 올해 초 서울을 중심으로 더 급등했다가 최근 대출규제 발표 이후로는 숨고르기에 들어간 상태입니다. 이 추세가 이번 주에도 이어지긴 했는데, 일부 단지에서는 대출규제 이후에도 상승 실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신 부동산 상황도 짚어보겠습니다. 박연신 기자, 우선 전체적인 아파트값 흐름은 어땠습니까? [기자] 한국부동산원이 집계한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0.19% 오르며 지난주 대비 0.1% p 상승 폭을 축소했는데요. 6·27 대출 규제 이후 숨고르기에 들어선 모습입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풍선효과로 상승세를 주도하던 성동구와 광진구가 각각 서울 자치구 내 상승률 1, 2위를 기록했지만, 두 곳 모두 상승 폭을 축소했고 토허제로 묶인 강남 3구와 용산구 역시 지난주에 비해 상승 폭이 줄어들었습니다. 반면 중저가 아파트가 아파트가 몰려있는 도봉구는 서울 자치구내 유일하게 상승률이 소폭 오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방의 경우, 세종시가 지난주 보합에서 0.03% 오르면서 상승 전환했는데요. 이외 부산과 광주, 대전, 전남 등에서도 하락 폭을 축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앵커] 그럼에도 최근에 상승세를 이끌고 있는 곳들은 어딘가요? [기자] 서울 아파트가 숨고르기 장세에 들어섰지만, 일부 아파트들이 상승세를 이어나갔는데요. 현금 여력이 있는 투자자들이 서울 내 재건축 가능성이 있는, 30년이 넘은 노후 아파트로 몰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한 부동산 플랫폼의 집계 결과, 6·27 대책 이후 서울에서 10억 원을 초과한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 상승률을 살펴보면 30년을 초과한 아파트가 7.3% 오르면서 신축 상승률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정부가 신도시를 통한 공급 확대는 없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히면서 재건축 활성화를 통한 공급에 무게가 실린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SBS Biz 박연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