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명태균 수사' 검찰, 오세훈 후원자·전 서울시 대변인 조사
등록일2025.03.14
▲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지난 2021년 재·보궐 선거 당시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의 여론조사 비용을 대납했다는 의혹을 받는 사업가 김한정 씨를 다시 불러 피의자 조사하고 있습니다. 과거 오 시장 선거캠프에서 공보단장을 맡았던 이창근 전 서울시 대변인도 참고인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오늘(14일) 오후 1시 반부터 김 씨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습니다. 수사팀은 지난달 26일 김 씨의 자택과 사무실 등 4곳을 압수수색하고 이튿날 김 씨를 불러 조사했습니다. 김 씨는 2021년 재·보궐 선거 과정에서 명 씨가 실질적으로 운영하던 미래한국연구소에 오 시장 관련 미공표 여론조사를 13차례 진행한 대가로 3,300만 원을 오 시장 대신 지급한 의혹을 받습니다. 명 씨는 오 시장, 김 씨와의 '3자 회동'을 포함해 7차례 정도 만났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오 시장의 부탁을 받아 유리한 여론조사를 설계했고, 원본 데이터도 제공했다는 주장도 했습니다. 반면 오 시장 측은 두 차례 명 씨를 만난 뒤 끊어냈지, 3자 회동을 포함한 7차례 만난 사실이 없고 여론조사 결과도 전달받지 못했다는 입장입니다. 김 씨도 3자 회동 등에 대해선 부인하는 상황으로 전해졌습니다. 검찰은 앞서 참고인으로 부른 오 시장 측근들과, 의혹 관계자들의 진술 내용을 바탕으로 김 씨가 돈을 보낸 경위를 캐묻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수사팀은 오늘 이창근 전 서울시 대변인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그는 2021년 재·보궐선거 당시 오 전 시장의 선거대책위원회 공보단장을 맡았고, 당선 이후에는 서울시 대변인을 지냈습니다. 수사팀은 서울중앙지검과 창원지검에서 각각 관련자들을 불러 조사하며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수사팀은 어제 김병민 서울시 정무부시장, 지난 10일에는 오 시장 최측근인 강철원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과 박찬구 서울시 정무특보를 각각 참고인 신분으로 서울중앙지검에 불러 조사했습니다. 창원지검은 지난달 27과 28일, 또 이달 6일과 7일, 11일까지 총 다섯 차례에 걸쳐 창원교도소에 수감된 명 씨를 청사로 불러 조사했습니다. 명 씨 관련 의혹을 폭로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의 보좌관 출신인 강혜경 씨는 이달 5일 창원지검에서, 지난 10일에는 서울중앙지검에서 각각 조사를 받았습니다. (사진=연합뉴스)
검찰, 오세훈 최측근들 조사… 만났다는 명태균 주장 허위
등록일2025.03.11
▲ 중앙지검 출석하는 강철원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 검찰이 오세훈 서울시장과 관련한 여론조사 비용 대납 의혹과 관련해 어제(10일) 오 시장 최측근 참모 2명을 조사했습니다.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이날 오후 1시 30분쯤부터 강철원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과 박찬구 정무특보를 참고인 및 고소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습니다. 강 전 부시장은 오 시장이 국회에 입성한 2000년 보좌관으로 시작해 줄곧 곁을 지킨 최측근으로 꼽힙니다. 2023년 5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서울시 정무부시장을 지냈습니다. 오 시장 핵심 참모로 꼽히는 박 특보 역시 2021년 보궐선거 당시 오 시장 수행 역할을 맡았습니다. 검찰은 2021년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가 실질적으로 운영한 미래한국연구소가 오 시장과 관련해 13차례 비공표 여론조사를 했고, 오 시장의 오랜 후원자로 알려진 사업가 김한정 씨가 2021년 2∼3월 조사 비용 3천300만 원을 대납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입니다. 미래한국연구소 부소장으로 일한 강혜경 씨는 김 씨로부터 조사비용을 개인 계좌로 받았는데, 명 씨 지시로 오 시장에게 유리한 설문안을 짰고 오 시장 측에 원본 데이터를 제공했다고 주장합니다. 명 씨는 보궐선거 당시 오 시장과 김 씨와 '3자 회동'을 포함해 7차례 정도 오 시장과 중국집, 오 시장의 당협 사무실 등에서 만났다고 주장합니다. 또 명 씨는 오 시장이 선거를 앞두고 나경원을 이기는 조사가 필요하다. 서울로 빨리 올라오라 고 했다거나, 오 시장이 여론조사 비용은 김(한정) 회장이 부담할 것 이라고 말했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박 특보는 2021년 1월 27일 명 씨에게 '시장님 모시고 있는 서울시○○입니다'라는 문자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검찰은 명 씨의 이른바 '황금폰' 포렌식을 통해 이 같은 문자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그러나 오 시장은 2021년 1월쯤 김영선 전 의원 소개로 명 씨를 두 번 만난 것은 있지만 명 씨의 부정여론조사 수법을 확인한 뒤 상대할 가치가 없는 인물이라 생각해 끊어냈고, 여론조사 결과를 전달받은 사실 자체가 없다고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있습니다. 또 그런 사실이 있다면 언제 누구에게 전달했는지 밝히라며 명 씨를 중앙지검에 고소한 상태입니다. 명 씨가 여론조사 등에 도움을 주겠다고 해 당시 캠프 실무를 총괄하던 강 전 부시장이 만난 적이 있지만 여론 조사상 기법 등을 문제로 갈등이 생겼고, 그해 2월 직접 만나 크게 다투면서 관계가 완전히 끝났다는 게 오 시장 측 주장입니다. 강 전 부시장은 이날 검찰청사로 출석하며 13번의 비공개 여론조사, 7번의 만남, 김한정 사장과의 3자 회동은 전혀 사실이 아님에도 계속 얘기하고 있다 며 5%의 사실에 95%의 허위를 엮고 있는 명태균 진술의 실체를 명확히 밝히는 자리라고 생각한다 고 말했습니다. 강 전 부시장은 조사를 마친 뒤 이날 오후 6시 46분쯤 기자들과 만나 만난다고 한다면 서로 앉아서 뭐라고 얘기를 하는 게 만난 것 아니냐 며 그냥 행사장에 왔다 갔다 하는 것도 만났다고 얘기한다면 (횟수가) 얼마가 될지 저희도 알 수가 없다. 그런 부분들을 얘기했다 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검찰이 명 씨와 오 시장이 만난 시간과 장소를 특정해서 제시하진 않았다고 전했습니다. 검찰은 이날 오 시장 의혹 확인을 위해 강혜경 씨도 참고인 신분으로 다시 불러 6시간 정도 조사했습니다. 검찰은 지난 5일 창원지검에서 강 씨를 출장 조사했습니다. 강 씨 측 문건일 변호사는 이날 오후 8시쯤 기자들과 만나 오세훈 캠프에 (여론조사) 결과지들이 어떻게 전달됐는지 진술했다 며 조작되지 않은 비공개 여론조사의 경우 명 씨가 여의도연구원과의 친분을 이용해서 공표용 여론조사 설문 항목에 반영한 것 아닌지 의심되는 대목이 있어서 함께 진술했다 고 밝혔습니다. 검찰은 오늘(11일) 오전 10시 창원지검에서 명 씨에 대한 추가 출장 조사를 합니다. 검찰은 지난달 27∼28일, 이달 6∼7일에도 창원교도소에 수용된 명 씨를 불러 조사한 바 있습니다. 명 씨는 이날 변호인을 통해 낸 입장문을 통해 오 시장이 나를 먼저 고소해 벌어진 일이니 그 누구도 나를 원망하지 말라 며 황금폰에서 나온 증거 때문에 지금은 돌이킬 수 없다 고 주장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오세훈 측근들 검찰 출석… 명태균 주장, 95%가 허위
등록일2025.03.10
&<앵커&> 검찰이 오늘(10일) 오세훈 서울시장의 측근들을 불러 조사했습니다. 명태균 씨가 제기했던 오 시장의 여론조사 비용 대납 의혹을 살펴보기 위해서인데요. 측근들은 명 씨 주장을 모두 부인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조윤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 최측근인 강철원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이 참고인 신분으로 검찰에 출석했습니다. 강 전 부시장은 오 시장의 여론조사 비용 대납 의혹을 제기한 명 씨 주장을 모두 부인했습니다. [강철원/전 서울시 정무부시장 : 95%의 허위라고 이야기하는 부분이, 13번의 비공개 여론조사, 지금 이야기하신 7번의 만남, 또 김한정 사장과의 3자 회동 이런 부분들은 전혀 사실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검찰은 지난 202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명 씨가 진행한 오 시장 관련 여론조사 13건 비용을 오 시장 후원자로 알려진 김 모 씨를 통해 대신 납부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김 씨가 2021년 2~3월까지 미래한국연구소 부소장이었던 강혜경 씨의 계좌로 3,300만 원을 입금했는데, 이 돈이 여론조사 비용 아니냐는 겁니다. 이에 대해 오 시장 측은 여론조사 결과도 받아보지 못했고, 3,300만 원이 송금된 사실도 몰랐다 는 입장입니다. 명 씨와 오 시장이 만났다는 횟수도 양측 주장이 엇갈립니다. 명 씨는 검찰 조사에서 오 시장을 7번 만났다고 진술했는데, 오 시장 측은 2번 만난 게 전부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 명 씨는 2021년, 오 시장이 빨리 서울로 올라오라고 재촉했다고 주장했는데, 오 시장은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입니다. [오세훈/서울시장 : 분명한 것은 명태균 씨가 저를 찾아온 거지, 제가 서울로 올라오라고 얘기했다는 것은 상식 밖입니다.] 검찰은 내일 교도소에 수감 중인 명 씨를 다시 불러 조사합니다. (영상취재 : 김흥기·김승태, 영상편집 : 이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