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이바오'프로그램 정보
푸바오와 할부지 2 푸바오와 할부지 2

방송일

방송 시작일 2024. 03. 23 ~ 2024. 04. 02
방송 요일,시간 화 토 22:20~00:00

기획의도

전 국민의 사랑을 받은 판다 푸바오와 강철원, 송영관 사육사의 만남과 이별을 관찰하는 토크프로그램

프로그램1
푸바오와 할부지 2 푸바오와 할부지 2

방송일

방송 시작일 2024. 03. 23 ~ 2024. 04. 02
방송 요일,시간 화 토

기획의도

전 국민의 사랑을 받은 판다 푸바오와 강철원, 송영관 사육사의 만남과 이별을 관찰하는 토크프로그램

더보기
뉴스20
'쌍둥이 판다' 루이X후이 근황 공개 'TV동물농장', 시청률 껑충 '최고 7.1%' '쌍둥이 판다' 루이X후이 근황 공개 'TV동물농장', 시청률 껑충 '최고 7.1%' 등록일2025.03.10 [SBS연예뉴스 | 강선애 기자] 자이언트 판타 바오 가족의 겨울 일상이 공개된 'TV동물농장'의 시청률이 상승했다. 지난 9일 방송된 SBS 'TV 동물농장'은 툭하면 대나무 밥상을 엎고 루이바오와 아이바오에게 달려드는 사춘기 후이바오와 판다 가족의 겨울 일상이 소개됐다. 특히, 후이바오가 밥상을 뒤엎고 언니 루이바오의 머리채까지 잡으며 심술을 부리다가 엄마 아이바오에게 잡혀 혼나는 장면은 최고 시청률 7.1%까지 오르며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오랜만에 만난 눈 내린 날의 바오 가족 일상은 극강의 귀여움으로 시청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았고 6%의 시청률을 기록했다.(이상 닐슨 코리아 수도권 가구 기준) 눈 덮인 세상을 특히 좋아하는 판다 가족들은 강철원 사육사가 준비한 눈 놀이터에서 투닥투닥 즐거운 하루를 보냈다. 사육사들이 판다들을 위해 밤새 눈을 뿌려 3M가 넘는 눈썰매장에 대나무까지 놓인 야외사육장에서 쌍둥이 판다들은 시간 가는 줄 모르게 눈놀이를 즐겼다. 그러나 루이, 후이의 과감한 눈썰매 놀이는 엄마 아이바오의 심기를 거슬렸고 아이바오는 훈육모드로 돌아섰다. 그러나 사춘기 후이는 육아모드로 돌아선 아이바오에게 대드는 뜻밖의 모습을 보였다. 반면 혼자만의 공간에서 유유자적 브런치 타임과 셀프 눈보라까지 만들며 눈놀이를 즐기는 아빠 러바오의 모습은 아이바오의 힘든 육아와 대조적이어서 웃음을 자아냈다. 퇴근 시간에도 불구하고 야외방사장에 남아 나무에 다시 올라가 퇴근을 거부하는 후이바오는 결국 아이바오에게 멱살 잡혀 강제 퇴근을 당하고 말았다. 강철원 사육사는 쌍둥이들이 이렇게 의견을 내세우는 것은 독립기가 가까워지면서 자연스러운 증상이라고 말했다. 그런가 하면 강철원 사육사는 워토우를 거부하는 후이바오를 위해 특별히 대통밥을 만들어 줬지만, 혼자서도 쓱쓱 잘 먹는 루이에 비해 후이는 이빨로 딱딱 소리를 내며 싫다는 자신의 의사를 명확히 표현했다. 그런 후이를 위해 강 사육사는 향나무 침대로 심심을 안정시켜 주려는 시도로 판다 가족의 평화를 되찾아줬다. 강철원 사육사는 쌍둥이들은 올 상반기에서 하반기로 넘어가는 시점에 독립을 할 예정 이라고 밝혔다. 방송을 본 시청자들은 귀여운 후이바오 청천벽력 , 일요일 아침부터 멍 때렸다 , 독립 시기 얘기 들으니 푸바오 생각나 울컥 , 강바오 님 대나무 통밥 정성에 감동했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TV동물농장'은 매주 일요일 아침 9시 30분 방송된다. 강선애 기자 sakang@sbs.co.kr
'푸바오 동생들' 루이·후이바오 첫 생일…에버랜드서 돌잔치 '푸바오 동생들' 루이·후이바오</font> 첫 생일…에버랜드서 돌잔치 등록일2024.07.07 ▲ 첫 생일 맞은 루이바오(왼쪽)와 후이바오(오른쪽) 푸바오의 동생 루이바오와 후이바오의 첫 생일잔치가 오늘(7일) 에버랜드 판다월드에서 열렸습니다. 돌잔치에는 사전 이벤트를 통해 초청된 팬 60명과 에버랜드 동물원 직원들이 참석했습니다. 직접 방문하지 못하는 팬들을 위해 돌잔치는 에버랜드 공식 유튜브 채널과 삼성 TV 플러스 채널 707번 '바오패밀리'를 통해 라이브로 중계됐습니다. 오늘 오전 9시 20분부터 진행된 생방송에서는 쌍둥이들의 성장 영상, 팬들과 주키퍼들의 축하 메시지, 돌잔치 준비 과정 등의 사전 영상이 10분간 방영됐습니다. 강철원, 송영관 등 판다월드 주키퍼들은 루이·후이바오가 앞으로 걸림돌 없이 순탄한 '판생'을 살길 바라는 마음에서 길이 2m, 너비 1m 크기의 나무 자동차와 대나무, 워토우, 당근 등으로 만든 지름 1m 대형 케이크를 선물했습니다. 이어 9시 30분부터 돌잔치 하이라이트인 돌잡이 모습이 이어졌습니다. 에버랜드는 쌍둥이의 건강과 행복을 바라며 대나무로 만든 붓(지혜), 판사봉(명예), 공(재능), 마이크(인기), 아령(건강) 등 5가지 아이템을 준비했습니다. 돌잡이에서 루이바오는 건강을 의미하는 아령을, 후이바오는 인기를 의미하는 마이크를 잡았습니다. 앞서 에버랜드가 지난 1일부터 진행한 돌잡이 예상 이벤트에선 2만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루이바오는 붓을, 후이바오는 공을 선택할 것이라고 예상한 팬들이 가장 많았습니다. '판다 할부지' 강철원 주키퍼는 엄마 아이바오와 함께 쌍둥이를 공동 육아하면서 힘이 들기도 했지만, 너무 행복한 시간이었다 며 푸바오가 받았던 관심과 사랑을 루이·후이바오에게도 보내주셔서 감사하다 고 전했습니다. 에버랜드 정동희 주토피아팀장은 루이·후이바오가 첫 생일을 맞을 때까지 항상 응원해주시고 사랑해 주시는 팬들께 감사드린다 며 모든 판다 가족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 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7월 7일 엄마 아이바오(2013년생)와 아빠 러바오(2012년생) 사이에서 태어난 루이바오·후이바오는 출생 당시 몸무게 180g, 140g에서 1년 만에 모두 30kg을 넘어서며 건강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에버랜드는 쌍둥이뿐 아니라 엄마 아이바오(13일), 큰언니 푸바오(20일), 아빠 러바오(28일)까지 이번 달 판다 가족 모두의 생일이 모여 있는 것을 고려해 '바오패밀리 버스데이 페스타'를 다음 달 4일까지 진행 중입니다. (사진=에버랜드 제공, 연합뉴스)
[시네마Y] 뒷심 무서운 '파묘' vs 팬더 열풍 '쿵푸팬더4', 극장은 화색 [시네마Y] 뒷심 무서운 '파묘' vs 팬더 열풍 '쿵푸팬더4', 극장은 화색 등록일2024.04.08 [SBS 연예뉴스 | 김지혜 기자] 개봉 7주 차에도 놀라운 뒷심을 발휘하고 있는 천만 영화 '파묘'와 9년 만에 돌아온 '쿵푸팬더' 시리즈 신작이 오는 4월 10일 맞대결을 펼친다. 지난 2월 22일 개봉한 '파묘'는 32일 만에 천만 관객을 돌파한데 이어 개봉 7주 차 주말까지 박스오피스 1위를 지켰다. 그러나 개봉 두 달 만에 강력한 적수가 등장했다. 9년 만에 돌아온 '쿵푸팬더4'다. 2008년 시작된 '쿵푸팬더' 시리즈는 1편 465만 명, 2편 506만 명, 3편 398만 명을 동원한 드림웍스의 효자 캐릭터다. 9년 간의 휴식기를 가진 '쿵푸팬더'는 더 막강한 웃음으로 무장해 가족 단위 관객을 공략한다. '쿵푸팬더4'가 더 강력해 보이는 것은 국내를 강타한 팬더 열풍 때문이다. 용인 에버랜드에 살고 있는 바오 가족 5인방(아이바오, 러바오, 푸바오, 루이바오, 후이바오)의 인기는 전국구다. 최근 푸바오가 중국으로 반환돼 팬들이 눈시울을 붉혔지만, 바오 패밀리에 대한 애정은 변함없다. 현실의 바오 패밀리 인기는 스크린 속 '쿵푸팬더4'로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 개봉을 이틀 앞둔 현재(8일 오전 10시 30분 기준) 예매율 49.7%(영진위 기준)를 기록하며 관객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다. 예매량은 11만 장을 넘어섰다. 가족 단위 관객이 많은 애니메이션 장르의 특성을 생각하면 개봉 이후 예매량은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파묘'는 천만 관객을 넘기며 하락세가 시작됐다. 신작 중 '파묘'의 뒷심을 이길만한 화제작이 없었기에 1위 자리를 장기간 수성할 수 있었다. 화제작 '쿵푸팬더4'의 등장은 극장에 기대감을 불어넣는다. 이미 북미에서 2주 연속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하고, 전 세계 59개국 박스오피스 1위에 오르며 오락성을 입증해 보였다. '쿵푸팬더' 시리즈에 대한 신뢰와 에버랜드 바오 패밀리에 대한 애정 그리고 푸바오에 대한 그리움이 9년 만에 돌아온 '포'에 대한 사랑으로 이어질지 관심이 모아진다. 개봉일인 4월 10일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로 인한 휴일이다. 천만 영화 '파묘'와 기대작 '쿵푸팬더4'의 맞대결이 극장가에 또 한 번의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ebada@sbs.co.kr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