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혜린'프로그램 정보
유니버스 티켓 유니버스 티켓

방송일

방송 시작일 2023. 11. 18 ~ 2024. 01. 17
방송 요일,시간 수 22:40~23:59

기획의도

글로벌 뮤직의 트랜드 K-POP을 이끄는 대한민국에서 SBS 최초 걸그룹 오디션 이 시작됩니다.

출연진

더보기
프로그램1
유니버스 티켓 유니버스 티켓

방송일

방송 시작일 2023. 11. 18 ~ 2024. 01. 17
방송 요일,시간

기획의도

글로벌 뮤직의 트랜드 K-POP을 이끄는 대한민국에서 SBS 최초 걸그룹 오디션 이 시작됩니다.

더보기
뉴스13
8시간째 조사…예고했던 대로 '진술 거부' 8시간째 조사…예고했던 대로 '진술 거부' 등록일2025.01.15 &<앵커&> 체포된 윤 대통령은 지금 이 시간에도 피의자 신분으로 계속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경기도 과천 공수처에 나가 있는 저희 취재 기자를 바로 연결해 보겠습니다. 한성희 기자, 오전 11시쯤부터 시작됐으니까 이제 8시간이 넘었는데, 조사에 진전이 있나요, 어떻습니까? &<기자&> 네, 수사팀은 윤석열 대통령과 변호인을 상대로 8시간째 조사를 이어가고 있지만, 조사는 사실상 진척이 없는 것으로 전해집니다. 윤 대통령 측이 체포 전 예고했던 대로, 진술거부권을 행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윤 대통령과 입회한 변호사 1명은 모든 질문에 사실상 답변을 하지 않거나 의견도 내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윤 대통령 측 거부로 영상녹화도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조사 입회 검사는 이재승 공수처 차장과 이대환 부장검사, 차정현 부장검사 순으로 번갈아 나서고 있습니다. 진술 거부가 계속될 경우 수사팀은 체포 시한인 48시간을 다 쓰지 않고,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앵커&> 전직 대통령 사례 보면 본격적인 조사에 앞서서 수사기관의 기관장이나 수뇌부가 와서 잠깐 차 마시고 이야기를 하는 게 사실 의례적인 관행이잖아요, 오늘(15일)은 그런 게 없던데 이유가 있습니까? &<기자&> 공수처는 당초 조사 시작에 앞서 윤 대통령과 오동운 공수처장과의 티타임을 계획했습니다. 하지만, 윤 대통령 측이 티타임을 생략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따라 윤 대통령은 이대환 부장검사와 짧게 만나 인사를 한 뒤 조사가 곧바로 시작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오전 11시쯤 시작한 조사가 8시간째 진행 중인데 이 과정에 점심, 저녁 식사 시간과 휴식 시간 40분이 주어졌습니다. 점심식사 메뉴로는 여러 반찬이 든 도시락이, 저녁 메뉴는 된장찌개가 제공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저녁 식사 직후인 오후 7시부터 조사는 재개됐습니다. 밤 9시 이후 심야 조사를 이어나갈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는데, 다만, 공수처 관계자는 밤샘 조사까지는 하지 않는다 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조사를 마친 뒤 서울구치소에서 밤을 보낸 뒤 내일 이른 아침 다시 공수처에 나와 조사를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오영춘, 영상편집 : 최혜린)
월급 더 준 뒤 지원금으로 돌려받기 …줄줄 샌 세금  월급 더 준 뒤 지원금으로 돌려받기 …줄줄 샌 세금 등록일2024.06.12 &<앵커&> 국가사업을 하면서 수 년 동안 정부 지원금을 빼돌린 민간 협회와 업체가 적발됐습니다. 인건비를 부풀려 받아 직원들에게 월급을 많이 주고, 나중에 돌려받는 식이었는데 감독기관 출신의 전직 고위 공무원이 연루된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최재영 기자입니다. &<기자&> 환경부사업을 위탁받아 하는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소속 직원의 급여명세서입니다. 공제 내역에 급여 환급액이란 항목이 있고, 추가 지급된 금액이니 1주일 안에 다시 입금하라며 계좌번호까지 적혀 있습니다. 환경부로부터 인건비를 부풀려 받아 직원에게 준 뒤 되돌려받은 겁니다. 이런 방식으로 빼돌린 지원금만 지난 2016~2022년까지 약 27억 원입니다. 협회는 또 2018~2022년까지 사업에 참여하는 직원 숫자를 부풀려 인건비 약 11억 8천만 원을 부당하게 챙겼습니다. 권익위 신고를 받기 전까지 관리감독기관인 환경부는 알지 못했습니다. [환경부 관계자 : 사전에 발견하면 좋은데 월급 명세서와 같은 경우 내부에서 은밀히 진행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협회 운영을 실질적으로 책임지고 있는 상근 부회장은 환경부 고위공직자 출신, 전관이었는데, 환경부는 권익위 통보뒤 자체 감사를 한 결과 상근 부회장이 인건비 횡령 사실을 알고도 묵인, 방조했다고 밝혔습니다. [정승윤/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 인건비 횡령 등에 연루된 협회의 상근부회장이 환경부 고위 공무원 출신인 것으로 드러났으며 부회장을 포함한 관련자 6명이 정직 등의 징계 조치가 되었습니다.] 환경부는 횡령금액을 모두 환수하고 국가사업에 1년 동안 입찰할 수 없도록 해당 협회를 부정당업자로 지정했습니다. 권익위는 산업자원부로부터 지원금을 받는 한 업체가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급받는 등의 수법으로 연구, 개발비 약 34억 원을 횡령한 사실도 적발했습니다. 산업부는 횡령액에 제재부가금 64억원을 더해 모두 98억 원을 환수조치했습니다. (영상취재 : 윤 형, 영상편집 : 최혜린, 디자인 : 조성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