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철'프로그램 정보
녹두꽃 녹두꽃

방송일

방송 시작일 2019. 04. 26 ~ 2019. 07. 13
방송 요일,시간 금 토 22:00~23:10

기획의도

흰 옷의 백성들이 죽창을 들고 모여드니 앉으면 죽산(竹山)이요, 서면 백산(白山)이라! 전설이 된 미완의 혁명, 동학농민항쟁! 1894년 조선 강토를 피로 물들인 동학농민항쟁은 단순한 반란이 아니라 봉건의 한 시대를 마감하고 근대의 신새벽을 열어젖힌 전환기적 사건이었다. '사람이 곧 하늘(人乃天)'이라는 믿음으로 자유와 평등, 민족 자주가 실현되는 나라를 만들고자 했던 아래로부터의 혁명이었다. 미완(未完)의 혁명이기도 했다. 전봉준의 지휘 아래 서울로 진격하던 혁명군은 공주 우금티 전투에서 조일연합군의 막강한 화력 앞에 무릎을 꿇었다. 그러나 그들의 정신은 살아남아 3?1 운동으로, 항일독립투쟁으로, 4?19로, 유월항쟁으로 면면히 이어져 왔다. 다른 세상은 가능하다고 믿었던 선조들의 우렁찬 사자후! 이 드라마는 '동학'하면 떠오르는 녹두장군 전봉준의 일대기가 아니다. 항쟁의 소용돌이에 휩쓸려 궤도를 이탈해버린 민초들의 이야기다. 혁명군과 토벌대로 갈라져 서로의 가슴에 총구를 겨눠야 하는 이복형제가 써내려가는 애증과 영욕의 드라마다. 역사에 이름 한 줄 남기지 못하고 스러져간 무명전사들, 혁명과 반혁명이 교차하는 와중에도 삶의 의지를 잃지 않았던 갑오년의 위대한 백성들에게 바치는 헌사이다.

출연진

더보기
프로그램1
녹두꽃 녹두꽃

방송일

방송 시작일 2019. 04. 26 ~ 2019. 07. 13
방송 요일,시간 금 토

기획의도

흰 옷의 백성들이 죽창을 들고 모여드니 앉으면 죽산(竹山)이요, 서면 백산(白山)이라! 전설이 된 미완의 혁명, 동학농민항쟁! 1894년 조선 강토를 피로 물들인 동학농민항쟁은 단순한 반란이 아니라 봉건의 한 시대를 마감하고 근대의 신새벽을 열어젖힌 전환기적 사건이었다. '사람이 곧 하늘(人乃天)'이라는 믿음으로 자유와 평등, 민족 자주가 실현되는 나라를 만들고자 했던 아래로부터의 혁명이었다. 미완(未完)의 혁명이기도 했다. 전봉준의 지휘 아래 서울로 진격하던 혁명군은 공주 우금티 전투에서 조일연합군의 막강한 화력 앞에 무릎을 꿇었다. 그러나 그들의 정신은 살아남아 3?1 운동으로, 항일독립투쟁으로, 4?19로, 유월항쟁으로 면면히 이어져 왔다. 다른 세상은 가능하다고 믿었던 선조들의 우렁찬 사자후! 이 드라마는 '동학'하면 떠오르는 녹두장군 전봉준의 일대기가 아니다. 항쟁의 소용돌이에 휩쓸려 궤도를 이탈해버린 민초들의 이야기다. 혁명군과 토벌대로 갈라져 서로의 가슴에 총구를 겨눠야 하는 이복형제가 써내려가는 애증과 영욕의 드라마다. 역사에 이름 한 줄 남기지 못하고 스러져간 무명전사들, 혁명과 반혁명이 교차하는 와중에도 삶의 의지를 잃지 않았던 갑오년의 위대한 백성들에게 바치는 헌사이다.

더보기
뉴스5
'문화예술로 재생하다' 28일 플랫폼창동61에서 개최 '문화예술로 재생하다' 28일 플랫폼창동61에서 개최 등록일2019.08.27 서울시도시재생지원센터협의회와 동북4구 도시재생협력지원센터가 추진하는 도시재생 지역문제 해결형 워크숍 서울편이 전국 20개 도시재생지원센터 근무자 및 관계자 약 80여명이 참석하는 가운데 오는 8월 28일(수) 플랫폼창동61 레드박스에서 개최된다. 도시재생 지역문제 해결형 워크숍은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지역이 안고 있는 의제와 고민을 전국의 도시재생지원센터 실무자 및 활동가들이 참여하여 사업현장을 답사하고 토론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워크숍이다. 전국의 지역순회방식으로 추진되고 있는 도시재생 지역문제 해결형 워크숍은 전국 각지에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도시재생지원센터가 先제안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행된다. 도시재생 지역문제 해결형 워크숍 서울편은 &'문화예술과 도시재생&'을 주제로 서울시도시재생지원센터협의회와 동북4구 도시재생협력지원센터의 공동주관으로 추진된다. 워크숍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동북4구 도시재생협력지원센터 주민공모사업으로 발굴된 음악으로도시를재생하다(음.도.생.)팀, 센터의 코디네이터가 함께 참여하는 Swiiss 팀, 뮤지컬공연팀 바리칸토의 문화예술공연으로 시작된다. 이후, 플랫폼창동61 뮤직디렉터인 시나위 신대철 대표가 &'음악과 도시재생의 만남&'을 주제로 첫 번째 주제발제가 있을 예정이며, 이어서 &'이웃지자체와 함께 만들어가는 동북4구 도시재생&'을 주제로 동북4구 도시재생협력지원센터 정선철 센터장의 주제발제가 이어질 예정이다. 주제발제 이후, &'문화예술 기반 도시재생의 현황과 방향&'에 대해 참여자 전체가 참여하는 도시재생 지역문제 해결형 워크숍이 진행된다. 도시재생 지역문제 해결형 워크숍(서울편)은 도시재생사업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국 실무자들이 참여하여, 도시재생사업에서 공공영역으로 편향되고 있는 문화예술분야의 현황과 방향에 대해 집중논의하고 이를 각 사업현장에 접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백해영 서울시도시재생지원센터협의회 대표는 &'도시재생 지역문제 해결형 워크숍 서울편을 통해, 도시재생 현장에서 문화예술이 어떻게 통용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정선철 동북4구 도시재생협력지원센터 센터장은 &'이번 워크숍을 통해 서울시 동북권 문화예술 혁신성장의 산업거점 조성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창동?상계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일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날 개최되는 도시재생 지역문제 해결형 워크숍 서울편에 이어, 동북4구 도시재생협력지원센터에서 개최하는 2019 청춘 Insight &'실패콘서트&' 가 이어질 예정이다.
더보기
이미지2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