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상'프로그램 정보
그 해 우리는 그 해 우리는

방송일

방송 시작일 2021. 12. 06 ~ 2022. 01. 27
방송 요일,시간 월,화 22:00~23:10

기획의도

다큐멘터리는 평범한 사람 누구나 주인공이 될 수 있다. 공부 잘 하는 전교 1등 국연수도, 매일 잠만 자는 전교 꼴등 최웅도, 원한다면 청춘 다큐멘터리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 문제는, 이 두 사람은 원하지 않았다는 것 뿐. 여기 열아홉 그 해의 여름을 강제 기록 당한 남녀가 있다. 빼도 박도 못하게 영상으로 남아 전국민 앞에서 사춘기를 보내야만 했던 두 사람은 하나부터 열까지 모든 게 상극이다. 환경도, 가치관도, 목표도 다른 이 두 사람에게 공통점은 단 하나. 그 해, 첫사랑에 속절없이 젖어 들었다는 것. 그리고 이 이야기는 10년이 흐른 지금, 다시 시작된다. 순수함과 풋풋함은 멀리 던져 두고 더 치열해지고, 더 악랄해진, 두 사람이 다시 만나 또 한 번의 시절을 기록한다. 말하자면 휴먼 청춘 재회 그리고 애증의 다큐멘터리랄까. 그 해 보다 좀 더 유치하고, 좀 더 찐득하게.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도 기록이 되면 이야기가 된다. 서로 너무나 다른 것 같은 다큐와 드라마도 결국은 우리들의 삶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처럼, 그 해 두 사람은, 우리는, 우리들은, 어떤 이야기를 만들어가고 있을까.

출연진

더보기
프로그램4
더 킹 : 영원의 군주 더 킹 : 영원의 군주

방송일

방송 시작일 2020. 04. 17 ~ 2020. 06. 12
방송 요일,시간 금 토 22:00~23:20

기획의도

2020년 봄, 평행세계의 문이 열린다. 초행임에도 불구하고 이미 와본 적이 있다고 느끼거나 분명 처음 하는 일인데 전에 똑같은 일을 했던 것 같은 이상한 느낌. 우린 그것을 '데자뷰(Deja-vu)'라고 하고 현대의학은 '데자뷰'를 '지각 장애'의 일종으로 파악한다. 그런데 그것이 뇌의 착각이 아니라면.. “우리가 아주 잠깐, 우주의 비밀을 엿본 것이라면? 그 이상한 느낌이 바로 평행세계에 있는 또 다른 '나'를 본 것이었다면?” 누구나 한 번쯤 해봤을 생각. 이민 가고 싶어. 다시 태어나고 싶어. 이번 생은 망했어. 누구나 한 번쯤 먹었을 마음. 나도 저런 차 한번 타봤으면. 나도 저런 집에 한 번 살아봤으면. 나도 저런 재벌 부모 만났으면. 그런 당신의 귓가에 누군가 속삭인다. “'나'보다 나은 삶을 살고 있는 또 다른 세계의 '나'와 당신을 바꿀 수 있다면, 당신은 그와 당신의 삶을 바꾸시겠습니까?” 내가 가진 삶. 내가 가진 사람. 내가 가진 사랑. 그 모든 것을 버리는 선택이다. 물론 나 자신조차도. 눈치 챘겠지만 나와 바뀐 평행세계의 내가 어떻게 되는지는 절대 묻지 말자. “신(神)은 인간의 세상에 악마를 풀어놓았고 그 악마는 평행 세계의 문을 열고 말았다.” 이제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노골적인 질문과 사악한 대답. 그래서 더욱 매혹적인 드라마 '더 킹-영원의 군주'는, 평행세계에서 이 세계로 온. 차원의 문(門)을 닫으려는 이과(理科) 황제 이곤과 누군가의 삶. 사랑. 사랑을 지키려는. 문과(文科) 형사 정태을의 공조가 때론 설레게 때론 시리게 펼쳐지는 차원 다른 로맨스 판타지 드라마다.

더보기
프로그램4
그 해 우리는 그 해 우리는

방송일

방송 시작일 2021. 12. 06 ~ 2022. 01. 27
방송 요일,시간 월,화

기획의도

다큐멘터리는 평범한 사람 누구나 주인공이 될 수 있다. 공부 잘 하는 전교 1등 국연수도, 매일 잠만 자는 전교 꼴등 최웅도, 원한다면 청춘 다큐멘터리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 문제는, 이 두 사람은 원하지 않았다는 것 뿐. 여기 열아홉 그 해의 여름을 강제 기록 당한 남녀가 있다. 빼도 박도 못하게 영상으로 남아 전국민 앞에서 사춘기를 보내야만 했던 두 사람은 하나부터 열까지 모든 게 상극이다. 환경도, 가치관도, 목표도 다른 이 두 사람에게 공통점은 단 하나. 그 해, 첫사랑에 속절없이 젖어 들었다는 것. 그리고 이 이야기는 10년이 흐른 지금, 다시 시작된다. 순수함과 풋풋함은 멀리 던져 두고 더 치열해지고, 더 악랄해진, 두 사람이 다시 만나 또 한 번의 시절을 기록한다. 말하자면 휴먼 청춘 재회 그리고 애증의 다큐멘터리랄까. 그 해 보다 좀 더 유치하고, 좀 더 찐득하게.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도 기록이 되면 이야기가 된다. 서로 너무나 다른 것 같은 다큐와 드라마도 결국은 우리들의 삶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처럼, 그 해 두 사람은, 우리는, 우리들은, 어떤 이야기를 만들어가고 있을까.

더보기
뉴스106
[문화현장] 매드맥스 시리즈 프리퀄 '퓨리오사', 또 한 번 관객들 사로잡나 [문화현장] 매드맥스 시리즈 프리퀄 '퓨리오사', 또 한 번 관객들 사로잡나 등록일2024.05.23 [FunFun 문화현장] &<앵커&> 문화현장, 매주 목요일에는 최신 개봉영화 소식 전해드립니다. 김광현 기자입니다. &<기자&>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 감독 : 조지 밀러 / 주연 : 안야 테일러 조이, 크리스 헴스워스, 톰 버크] 문명 붕괴 45년 후, 평온했던 녹색의 땅에서 갑작스럽게 납치당한 어린 퓨리오사는 황폐한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해 목숨을 건 여정에 나섭니다. 1979년 시리즈가 시작된 이후 폭발적인 액션과 강렬한 캐릭터로 관객들을 사로잡아 온 매드맥스 시리즈의 프리퀄. 시리즈 처음부터 함께해 온 조지 밀러 감독이 다시 한번 메가폰을 잡았습니다. --- [청춘 18X2 너에게로 이어지는 길 / 감독 : 후지이 미치히토 / 주연 : 허광한, 키요하라 카야] 타이완에서 큰 성공을 거둔 게임 개발자이자 사업가인 지미. 자신이 만든 회사에서 쫓겨난 뒤 고향 집으로 돌아온 그는 오래된 엽서 한 장을 통해 18년 전 일본에서 배낭 여행을 왔던 아미와의 추억을 떠올립니다. 당시 노래방에서 함께 일하면서 사랑에 빠졌지만 어쩔 수 없이 헤어지게 된 그녀와의 기억을 쫓아 일본 여행에 나선 지미의 여정을 그렸습니다. 타이완과 일본의 합작 영화로 청춘 시절 풋풋한 첫사랑의 아름다움을 표현했습니다. --- [스텔라 / 감독 : 킬리언 리드호퍼 / 주연 : 폴라 비어, 야니스 니에브외너] 홀로코스트가 절정으로 치닫던 1940년대 독일.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운명이 바뀌어 버린 한 재즈 가수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입니다. 독일 패전 이후 나치에 협력했다는 죄목으로 법정에 서기까지 그녀가 겪은 일들을 실화를 기반으로 그렸습니다. --- [목화솜 피는 날 / 감독 : 신경수 / 주연 : 박원상, 우미화, 최덕문, 조희봉, 이지원, 박서연] 10년 전 참혹한 사고로 경은을 잃은 병호는 점 차 기억을 잃어갑니다. 아내 수현은 고통을 견디느라 이를 외면하고 첫째 딸 채은은 아빠마저 잃을까 봐 두렵기만 합니다. 죽은 딸과 함께 사라진 기억과 멈춰버린 세월을 되찾기 위해 나선 가족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입니다. (영상편집 : 박진훈)
세월호 참사 10주기 기념작 '목화솜 피는 날', 5월 개봉 세월호 참사 10주기 기념작 '목화솜 피는 날', 5월 개봉 등록일2024.04.09 세월호 참사 10주기 영화 프로젝트 일환으로 만들어진 장편 극영화 '목화솜 피는 날'이 오는 5월 개봉한다. '목화솜 피는 날'은 10년 전 사고로 죽은 딸과 함께 사라진 기억과 멈춘 세월을 되찾기 위해 나선 가족의 가슴 뜨거운 이야기를 그린 실화 드라마다. 영화 제작사 연분홍치마(연분홍프로덕션)와 (사)4.16 세월호 참사 가족협의회가 함께 기획한 '세월호 참사 10주기 영화 프로젝트' 가운데 옴니버스 다큐멘터리 '세 가지 안부', 장편 다큐멘터리 '바람의 세월'에 이은 장편 극영화다. 박원상, 우미화, 최덕문, 조희봉 등 경력 25년 이상 베테랑 배우들의 흡인력 있는 열연과 함께 세월호 참사 가족 극단 '노란리본' 어머니들이 참여해 진정성을 더했다. 또한, SBS 드라마 '소방서 옆 경찰서, 그리고 국과수', '소방서 옆 경찰서', '녹두꽃', '육룡이 나르샤' 등을 연출한 신경수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으며, 연극 '아들에게', '금성여인숙', '말뫼의 눈물' 등 주로 사회 약자를 다룬 작품을 써온 구두리 작가가 각본에 참여했다. '목화솜 피는 날'은 세월호 유가족의 참여와 지지 속에 인터뷰와 철저한 사전 조사를 거치고, 영화 최초로 세월호 선체 내부 촬영을 진행했다. 단원고와 가족들이 있는 '안산', 세월호가 처음 발견된 팽목항의 '진도', 현재 세월호가 서 있는 '목포'까지 상징적인 세 곳의 장소가 영화 속 배경으로 등장해 의미를 더한다. 또한 기억을 잃은 주인공의 이야기로 세월호 참사가 남긴 상흔과 잊지 않고 기억하는 10년이라는 시간의 의미를 바라보고, 참사를 추모하는 공간에 남겨진 여러 사람들을 등장시켜 다시금 우리에게 주어진 실천의 과제들을 되새긴다. 영화의 제목은 목화의 두 번째 꽃으로 불리는 '목화솜'을 통해 아이들이 다시 태어나 새 삶을 살기 바란다는 염원을 담았다. '목화솜 피는 날'은 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 '코리안시네마: 세월호 참사 10주기' 섹션에 초청되었다. 영화제 기간 동안 상영과 함께 신경수 감독, 박원상, 우미화, 최덕문, 조희봉 배우가 참석하는 GV, 토크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전주국제영화제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목화솜 피는 날'은 5월 전국 극장에서 개봉 예정이다. (SBS연예뉴스 김지혜 기자)
세월호 참사 10주기 기념작 '목화솜 피는 날', 5월 개봉 세월호 참사 10주기 기념작 '목화솜 피는 날', 5월 개봉 등록일2024.04.09 [SBS 연예뉴스 | 김지혜 기자] 세월호 참사 10주기 영화 프로젝트 일환으로 만들어진 장편 극영화 '목화솜 피는 날'이 오는 5월 개봉한다. '목화솜 피는 날'은 10년 전 사고로 죽은 딸과 함께 사라진 기억과 멈춘 세월을 되찾기 위해 나선 가족의 가슴 뜨거운 이야기를 그린 실화 드라마다. 영화 제작사 연분홍치마(연분홍프로덕션)와 (사)4.16 세월호 참사 가족협의회가 함께 기획한 '세월호 참사 10주기 영화 프로젝트' 가운데 옴니버스 다큐멘터리 '세 가지 안부', 장편 다큐멘터리 '바람의 세월'에 이은 장편 극영화다. 박원상, 우미화, 최덕문, 조희봉 등 경력 25년 이상 베테랑 배우들의 흡인력 있는 열연과 함께 세월호 참사 가족 극단 '노란리본' 어머니들이 참여해 진정성을 더했다. 또한, SBS 드라마 '소방서 옆 경찰서, 그리고 국과수', '소방서 옆 경찰서', '녹두꽃', '육룡이 나르샤' 등을 연출한 신경수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으며, 연극 '아들에게', '금성여인숙', '말뫼의 눈물' 등 주로 사회 약자를 다룬 작품을 써온 구두리 작가가 각본에 참여했다. '목화솜 피는 날'은 세월호 유가족의 참여와 지지 속에 인터뷰와 철저한 사전 조사를 거치고, 영화 최초로 세월호 선체 내부 촬영을 진행했다. 단원고와 가족들이 있는 '안산', 세월호가 처음 발견된 팽목항의 '진도', 현재 세월호가 서 있는 '목포'까지 상징적인 세 곳의 장소가 영화 속 배경으로 등장해 의미를 더한다. 또한 기억을 잃은 주인공의 이야기로 세월호 참사가 남긴 상흔과 잊지 않고 기억하는 10년이라는 시간의 의미를 바라보고, 참사를 추모하는 공간에 남겨진 여러 사람들을 등장시켜 다시금 우리에게 주어진 실천의 과제들을 되새긴다. 영화의 제목은 목화의 두 번째 꽃으로 불리는 '목화솜'을 통해 아이들이 다시 태어나 새 삶을 살기 바란다는 염원을 담았다. '목화솜 피는 날'은 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 '코리안시네마: 세월호 참사 10주기' 섹션에 초청되었다. 영화제 기간 동안 상영과 함께 신경수 감독, 박원상, 우미화, 최덕문, 조희봉 배우가 참석하는 GV, 토크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전주국제영화제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목화솜 피는 날'은 5월 전국 극장에서 개봉 예정이다.
임순례X강말금, '날아라 펭귄', 배리어프리버전 제작 참여 임순례X강말금, '날아라 펭귄', 배리어프리버전 제작 참여 등록일2023.10.11 임순례 감독과 배우 강말금이 영화 '날아라 펭귄' 배리어프리버전 제작에 참여했다. 11일 배리어프리영화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9월 충무로의 녹음스튜디오에서 임순례 감독, 강말금 배우와 함께 '날아라 펭귄' 배리어프리버전 제작을 위한 음성해설 녹음을 진행했다. 강말금은 임순례 감독의 추천으로 참여하게 됐다. '날아라 펭귄'은 2009년 국가인권위원회가 제작·기획한 옴니버스 형태의 장편 영화로 문소리, 박원상, 손병호, 최규환, 박인환, 정혜선 등이 출연했으며 지나친 교육열, 채식주의자, 기러기 아빠, 황혼 이혼 등을 통해 한국 사회의 다양성 부족과 소수자 인권의 문제점을 짚어내고 있다. 임순례 감독은 처음 제작된 인권영화 '여섯 개의 시선'에서 한 편을 맡아 연출했고, 첫 장편으로 '날아라 펭귄'을 제작했기 때문에 다른 감독님들보다 조금 더 인권영화와 인연이 깊다고 할 수 있다. 인권영화 배리어프리버전 제작을 열렬히 응원하고 앞으로도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사회적 약자의 권리 증진을 위한 영화제작과 배리어프리 제작에 더욱 힘써주시기를 부탁드린다 고 전했다. 강말금 배우는 뜻깊은 작업에 제 목소리를 통해서 작으나마 힘을 보탤 수 있어서 너무 기쁘다. 앞으로도 많은 인권영화가 배리어프리버전으로 다시 제작될 수 있으면 좋겠다. '날아라 펭귄' 배리어프리버전 재미있게 감상해달라 고 참여 소감을 밝혔다. 국가인권위원회가 인권영화 제작 20주년을 기념해 진행하고 있는 '2023 인권영화 배리어프리버전 제작 프로젝트'는 2002년부터 제작된 인권영화 가운데 6편을 배리어프리버전으로 제작하는 프로젝트다. '날아라 펭귄'을 비롯해 '범죄소년', '별별이야기', '별별이야기2-여섯 빛깔 무지개', '시선 사이', '어떤 시선' 등 6편의 인권영화가 배리어프리버전으로 제작된다. 완성된 영화 중 '범죄소년', '별별이야기', '어떤 시선'은 오는 11월 7일부터 11일까지 한국영상자료원 시네마테크KOFA에서 열리는 제13회 서울배리어프리영화제에서 상영된다. '날아라 펭귄', '별별이야기2-여섯 빛깔 무지개', '시선 사이'는 12월 10일 세계 인권의 날을 기념해 열리는 특별상영회에서 관객들에게 공개될 예정이다. 공동체상영 신청도 가능하다. '날아라 펭귄' 배리어프리버전 임순례 감독과 강말금 배우의 인터뷰 영상 및 6편의 인권영화 배리어프리버전 예고편과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소개 영상도 국가인권위원회 유튜브 채널을 통해 관람할 수 있다. (SBS연예뉴스 김지혜 기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