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예원'프로그램 정보
흉부외과:심장을 훔친 의사들 흉부외과:심장을 훔친 의사들

방송일

방송 시작일 2018. 09. 27 ~ 2018. 11. 15
방송 요일,시간 수,목 22:00~23:10

기획의도

가슴에 손을 얹고 잠시 느껴보자. 어머니 뱃속에서 생겨난 이후 단 한 순간도 박동을 멈추지 않는 심장을. 겨우 주먹 하나 크기. 온 몸으로 피를 짜내는 절박함. 멈추는 순간 사망이다. 여기, 심장이 멈추어도 결코 멈출 수 없는 두 사람이 있다. 심장이식만을 기다리는 어머니를 살려야 하는 흉부외과 펠로우 박태수 펠노예 박태수의 생사여탈권을 쥐고 있는 흉부외과 교수 최석한 그리고, 가져선 안 될 심장을 가진 여자가 있다. 죽음의 문턱에서 기적처럼 살아 돌아오는 흉부외과 조교수 윤수연 이들이 전쟁같은 하루하루를 보내는 곳 태산병원 흉부외과다. 대학병원의 수준 차가 가장 많이 나는 과가 흉부외과다. 살고 죽기 때문에. 집도의가 결코 실력을 속일 수가 없는 과가 흉부외과다. 살고 죽기 때문에. 누군가는 수술대 위에서 죽이고, 제 실력 아는 누군가는 수술을 기피하고, 환자가 죽으면 나도 죽는다는 각오로 심장에 칼을 대는 흉부외과의사는 극소수다. 하지만, 실력을 가진 자는 권력이 없고 권력을 가진 자는 실력이 없어서 서로에게 칼끝을 겨누는 의사들. 그리고 그들의 손에 생명을 내맡긴 환자들. 살고 싶은 간절한 소망, 살리고 싶은 욕망, 살아남고 싶은 야망이 소용돌이치는 이곳. 태산병원 흉부외과 딜레마에 빠진 이들은 어떤 선택을 하게될까? 박태수, 최석한, 윤수연 - 이제 선택의 순간이 왔다. 의사 OOO로 남을 것이냐, 개인 OOO이 될 것이냐. 살려야 할 목숨은 둘이지만 심장은 단 하나이기 때문에...

출연진

더보기
프로그램4
수상한 파트너 수상한 파트너

방송일

방송 시작일 2017. 05. 10 ~ 2017. 07. 13
방송 요일,시간 수,목 22:00~23:10

기획의도

노지욱과 은봉희가 그리고 우리가 때때로 참 이해 없다 여겨지는 이 세상을 살아가는 힘. 바로, 이렇게 말해주는 당신이 있기에 이해 없는 세상에서 나만은 언제라도 네 편인 걸 기억 하거라 -이상, 옥희 보아라 中- 이 드라마는, 노지욱과 은봉희의 아주 웃기는 로맨틱 코미디이자, 기억상실로 결정적 한 순간을 무한반복하며 두 사람을 살해하려 드는 한 살인자와의 쫓고 쫓기는 스릴러이자, 편견 가득한 세상과 싸우고 화해하며 성장하는 성장기이자 종국엔 서로를 위해 희생하는, 가슴 싸르르한 멜로드라마이다.

더보기
프로그램4
흉부외과:심장을 훔친 의사들 흉부외과:심장을 훔친 의사들

방송일

방송 시작일 2018. 09. 27 ~ 2018. 11. 15
방송 요일,시간 수,목

기획의도

가슴에 손을 얹고 잠시 느껴보자. 어머니 뱃속에서 생겨난 이후 단 한 순간도 박동을 멈추지 않는 심장을. 겨우 주먹 하나 크기. 온 몸으로 피를 짜내는 절박함. 멈추는 순간 사망이다. 여기, 심장이 멈추어도 결코 멈출 수 없는 두 사람이 있다. 심장이식만을 기다리는 어머니를 살려야 하는 흉부외과 펠로우 박태수 펠노예 박태수의 생사여탈권을 쥐고 있는 흉부외과 교수 최석한 그리고, 가져선 안 될 심장을 가진 여자가 있다. 죽음의 문턱에서 기적처럼 살아 돌아오는 흉부외과 조교수 윤수연 이들이 전쟁같은 하루하루를 보내는 곳 태산병원 흉부외과다. 대학병원의 수준 차가 가장 많이 나는 과가 흉부외과다. 살고 죽기 때문에. 집도의가 결코 실력을 속일 수가 없는 과가 흉부외과다. 살고 죽기 때문에. 누군가는 수술대 위에서 죽이고, 제 실력 아는 누군가는 수술을 기피하고, 환자가 죽으면 나도 죽는다는 각오로 심장에 칼을 대는 흉부외과의사는 극소수다. 하지만, 실력을 가진 자는 권력이 없고 권력을 가진 자는 실력이 없어서 서로에게 칼끝을 겨누는 의사들. 그리고 그들의 손에 생명을 내맡긴 환자들. 살고 싶은 간절한 소망, 살리고 싶은 욕망, 살아남고 싶은 야망이 소용돌이치는 이곳. 태산병원 흉부외과 딜레마에 빠진 이들은 어떤 선택을 하게될까? 박태수, 최석한, 윤수연 - 이제 선택의 순간이 왔다. 의사 OOO로 남을 것이냐, 개인 OOO이 될 것이냐. 살려야 할 목숨은 둘이지만 심장은 단 하나이기 때문에...

더보기
뉴스212
[자막뉴스] 더는 버틸 수가 줄줄이…억눌러왔던 게 터졌다 [자막뉴스]  더는 버틸 수가  줄줄이…억눌러왔던 게 터졌다 등록일2025.01.08 서강대는 13년 만에 학부 등록금을 올리기로 했습니다. 4.85% 인상입니다. 국민대도 4.97% 올리기로 했는데 17년 만입니다. 연세대, 성균관대, 중앙대, 한양대도 잇따라 등록금 인상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학생들 반응은 엇갈립니다. [김예원/대학생 : 학자금 대출로 다 하고 있다 보니까 계속 그 인상된 등록금으로 등록을 하게 될 텐데 아무래도 좀 부담이….] [이준찬/대학생 : (등록금) 동결이 되게 오래됐고, (인상이) 부담은 되지만 그게 잘 사용된다는 전제하에서는 그래도 낼 수 있는 범위라고 생각합니다.] 이주호 교육부 장관이 직접 나서 각 대학에 등록금 동결을 요청했지만, 이번엔 받아들이기 어렵단 분위깁니다. 실제 151개 사립대의 총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5.9%가 대학 현안 1순위로 등록금 인상을 꼽았습니다. [황인성/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사무처장 : (물가상승분을 감안하면) 16년 동안에 등록금 수입이 3분의 1 정도가 감소가 됐다고 보시면 되고. 재정 부족으로 인해 첨단 교육 시설이라든가 우수 교원들을 유치하지 못하는….] 정부는 지난 2012년부터는 등록금을 올리면, 국가장학금 지원을 안 하는 식으로 인상을 억눌러 왔습니다. 그 결과 학생 측 부담은 다소 줄었지만 등록금 의존도가 높은 대학 재정 구조상, 교육과 연구 여건이 후퇴했단 지적이 나옵니다. 국회 입법조사처는 등록금 인상제한 규정 이후 11년간 사립대학 연구비는 18% 줄고 실험실습비와 도서 구입비도 각각 25% 넘게 줄었다고 분석하기도 했습니다. 사립대뿐 아니라, 국립대에서도 등록금 인상이 필요하단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데, 거점 국립대 총장들은 내일(8일) 오후 교육부와 면담하기로 했습니다.
'등록금 동결' 요청에도…10여 년 만에 '줄인상' '등록금 동결' 요청에도…10여 년 만에 '줄인상' 등록일2025.01.08 &<앵커&> 서강대와 국민대가 올해 등록금을 5% 가까이 올리기로 했습니다. 10년 넘게 이어지는 정부의 등록금 동결 방침을 더 이상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대학들이 많아지는 분위기입니다. 장훈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서강대는 13년 만에 학부 등록금을 올리기로 했습니다. 4.85% 인상입니다. 국민대도 4.97% 올리기로 했는데 17년 만입니다. 연세대, 성균관대, 중앙대, 한양대도 잇따라 등록금 인상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학생들 반응은 엇갈립니다. [김예원/대학생 : 학자금 대출로 다 하고 있다 보니까 계속 그 인상된 등록금으로 등록을 하게 될 텐데 아무래도 좀 부담이….] [이준찬/대학생 : (등록금) 동결이 되게 오래됐고, (인상이) 부담은 되지만 그게 잘 사용된다는 전제하에서는 그래도 낼 수 있는 범위라고 생각합니다.] 이주호 교육부 장관이 직접 나서 각 대학에 등록금 동결을 요청했지만, 이번에는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분위기입니다. 실제 151개 사립대의 총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5.9%가 대학 현안 1순위로 등록금 인상을 꼽았습니다. [황인성/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사무처장 : (물가상승분을 감안하면) 16년 동안에 등록금 수입이 3분의 1 정도가 감소가 됐다고 보시면 되고. 재정 부족으로 인해 첨단 교육 시설이라든가 우수 교원들을 유치하지 못하는….] 정부는 지난 2012년부터는 등록금을 올리면, 국가장학금 지원을 안 하는 식으로 인상을 억눌러 왔습니다. 그 결과 학생 측 부담은 다소 줄었지만 등록금 의존도가 높은 대학 재정 구조상, 교육과 연구 여건이 후퇴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국회 입법조사처는 등록금 인상 제한 규정 이후 11년간 사립대학 연구비는 18% 줄고 실험실습비와 도서 구입비도 각각 25% 넘게 줄었다고 분석하기도 했습니다. 사립대뿐 아니라, 국립대에서도 등록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데, 거점 국립대 총장들은 오늘(8일) 오후 교육부와 면담하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 김용우, 영상편집 : 김호진, VJ : 신소영)
교육부 '동결' 요청에도…10여 년 만에 '줄인상' 교육부 '동결' 요청에도…10여 년 만에 '줄인상' 등록일2025.01.07 &<앵커&> 대학들이 올해 학부등록금을 줄줄이 올릴 걸로 보입니다. 정부가 10년 넘게 등록금 인상을 억눌러왔지만, 더는 받아들이기 어렵단 학교가 많아지는 분위기입니다. 장훈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강대는 13년 만에 학부 등록금을 올리기로 했습니다. 4.85% 인상입니다. 국민대도 4.97% 올리기로 했는데 17년 만입니다. 연세대, 성균관대, 중앙대, 한양대도 잇따라 등록금 인상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학생들 반응은 엇갈립니다. [김예원/대학생 : 학자금 대출로 다 하고 있다 보니까 계속 그 인상된 등록금으로 등록을 하게 될 텐데 아무래도 좀 부담이….] [이준찬/대학생 : (등록금) 동결이 되게 오래됐고, (인상이) 부담은 되지만 그게 잘 사용된다는 전제하에서는 그래도 낼 수 있는 범위라고 생각합니다.] 이주호 교육부 장관이 직접 나서 각 대학에 등록금 동결을 요청했지만, 이번엔 받아들이기 어렵단 분위깁니다. 실제 151개 사립대의 총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5.9%가 대학 현안 1순위로 등록금 인상을 꼽았습니다. [황인성/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사무처장 : (물가상승분을 감안하면) 16년 동안에 등록금 수입이 3분의 1 정도가 감소가 됐다고 보시면 되고. 재정 부족으로 인해 첨단 교육 시설이라든가 우수 교원들을 유치하지 못하는….] 정부는 지난 2012년부터는 등록금을 올리면, 국가장학금 지원을 안 하는 식으로 인상을 억눌러 왔습니다. 그 결과 학생 측 부담은 다소 줄었지만 등록금 의존도가 높은 대학 재정 구조상, 교육과 연구 여건이 후퇴했단 지적이 나옵니다. 국회 입법조사처는 등록금 인상제한 규정 이후 11년간 사립대학 연구비는 18% 줄고 실험실습비와 도서 구입비도 각각 25% 넘게 줄었다고 분석하기도 했습니다. 사립대뿐 아니라, 국립대에서도 등록금 인상이 필요하단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데, 거점 국립대 총장들은 내일(8일) 오후 교육부와 면담하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 김용우, 영상편집 : 김호진, VJ : 신소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