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정'프로그램 정보
유니버스 티켓 유니버스 티켓

방송일

방송 시작일 2023. 11. 18 ~ 2024. 01. 17
방송 요일,시간 수 22:40~23:59

기획의도

글로벌 뮤직의 트랜드 K-POP을 이끄는 대한민국에서 SBS 최초 걸그룹 오디션 이 시작됩니다.

출연진

더보기
프로그램5
2022 SBS 연기대상 2022 SBS 연기대상

방송일

방송 시작일 2022. 12. 31 ~ 2023. 01. 01
방송 요일,시간 토 20:35~00:40

기획의도

화제성 1위! 시청률 1위! 한 번 맛보면 헤어 나올 수 없는 SBS 드라마! 달달 치사량 초과♥ 부정맥 유발 로맨스부터 짠내 나는 주인공들의 성장 스토리, 마라맛 액션까지! 올 한해도 탄탄한 스토리와 화려한 라인업으로 모두의 입맛을 사로잡은 명실상부 드라'맛집' SBS! 2022년 12월 31일 올해를 빛낸 주인공들과 함께하는 2022 SBS 연기대상, 화려한 축제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더보기
프로그램5
유니버스 티켓 유니버스 티켓

방송일

방송 시작일 2023. 11. 18 ~ 2024. 01. 17
방송 요일,시간

기획의도

글로벌 뮤직의 트랜드 K-POP을 이끄는 대한민국에서 SBS 최초 걸그룹 오디션 이 시작됩니다.

더보기
뉴스389
직장인 5명 중 1명 이상이 성희롱 경험  직장인 5명 중 1명 이상이 성희롱 경험 등록일2024.09.08 직장인 100명 중 23명꼴로 직장 내 성희롱을 경험한 적 있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100명 중 15명은 직장에서 성추행·성폭행을 겪은 적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월 31일부터 6월 10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천명을 대상으로 한 &'직장 내 성범죄 피해 경험&' 관련 설문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오늘(8일) 밝혔습니다. 설문에 따르면 &'직장 생활을 시작한 이후 직장 내 성희롱을 경험해 본 적 있느냐&'는 물음에 응답자의 22.6%는 &'있다&'고 답했습니다. 성별로는 여성(26.1%)이 남성(19.1%)보다 7%포인트 높았습니다. 성희롱을 경험한 시점에 대한 질문에는 &'1∼3년 이내&'가 25.2%로 가장 많았고, &'1년 이내&'와 &'3∼5년 이내&'가 각각 20.8%와 16.4%로 집계됐습니다. 성희롱 행위자는 &'임원이 아닌 상급자&'(40.7%), &'사용자&'(23.5%), &'비슷한 직급 동료&'(17.7%) 순이었습니다. &'피해 이후 자해나 죽음을 고민한 적이 있다&'는 응답도 15%에 달했습니다. 직장 내 성추행·성폭행 피해 경험 여부에 대해서도 &'있다&'는 응답이 15.1%로 집계됐습니다. 역시 여성(19.7%)과 비정규직(20.8%)의 응답률이 남성(10.6%)과 정규직(11.3%)보다 높았습니다. 마지막 성추행·성폭행 경험 시점은 &'1년 이내&'가 19.2%, &'1∼3년 이내&'가 24.5%로, 경험자의 43.7%가 3년 이내에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성추행·성폭행 수준이 &'심각했다&'는 응답도 54.3%로 집계됐고, 여성(58.2%)과 비정규직(61.4%)의 응답이 남성(41.8%)과 정규직(45.6%)보다 높았다. 직장 내 스토킹 경험에 대한 질문에는 10.6%의 응답자가 &'있다&'고 답했습니다. 스토킹 행위자는 &'임원이 아닌 상급자&'(34.9%)가 가장 많았고, &'비슷한 직급 동료&'(20.2%)가 뒤를 이었습니다. 단체는 지난해 8월 실시한 같은 설문조사와 비교해 피해 경험 기간을 &'1년 내&'로 좁히면 성희롱은 14.2%에서 20.8%로, 성추행·성폭력은 13.8%에서 20.8%로 모두 늘어났다고 밝혔습니다. 직장갑질119 김세정 노무사는 &'1년 사이 젠더폭력 방지를 위한 법 제도가 마련되거나 개선됐지만 뚜렷한 효과가 없다&'며 &'법 제도 개선만으로는 현실을 바꾸기 어렵고, 조직 문화와 조직 구성원 개개인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직장갑질119 직장인 23%가 성희롱 경험 …1년 전보다 증가 직장갑질119  직장인 23%가 성희롱 경험 …1년 전보다 증가 등록일2024.09.08 직장인 100명 중 23명꼴로 직장 내 성희롱을 경험한 적 있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100명 중 15명은 직장에서 성추행·성폭행을 겪은 적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월 31일부터 6월 10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천 명을 대상으로 한 '직장 내 성범죄 피해 경험' 관련 설문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습니다. 설문에 따르면 '직장 생활을 시작한 이후 직장 내 성희롱을 경험해 본 적 있느냐'는 물음에 응답자의 22.6%는 '있다'고 답했습니다. 성별로는 여성이 26.1%로 남 19.1% 보다 7%포인트 높았습니다. 성희롱을 경험한 시점에 대한 질문에는 '1∼3년 이내'가 25.2%로 가장 많았고, '1년 이내'와 '3∼5년 이내'가 각각 20.8%와 16.4%로 집계됐습니다. 성희롱 행위자는 '임원이 아닌 상급자'(40.7%), '사용자'(23.5%), '비슷한 직급 동료'(17.7%) 순이었습니다. '피해 이후 자해나 죽음을 고민한 적이 있다'는 응답도 15%에 달했습니다. 직장 내 성추행·성폭행 피해 경험 여부에 대해서도 '있다'는 응답이 15.1%로 나타났습니다. 역시 여성(19.7%)과 비정규직(20.8%)의 응답률이 남성(10.6%)과 정규직(11.3%)보다 높았습니다. 마지막 성추행·성폭행 경험 시점은 '1년 이내'가 19.2%, '1∼3년 이내'가 24.5%로, 경험자의 43.7%가 3년 이내에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성추행·성폭행 수준이 '심각했다'는 응답도 54.3%로 집계됐고, 여성(58.2%)과 비정규직(61.4%)의 응답이 남성(41.8%)과 정규직(45.6%)보다 높았습니다. 지난해 8월 실시한 같은 설문조사와 비교해 피해 경험 기간을 '1년 내'로 좁히면 성희롱은 14.2%에서 20.8%로, 성추행·성폭력은 13.8%에서 20.8%로 모두 늘어난 것입니다. 직장갑질119 김세정 노무사는 1년 사이 젠더폭력 방지를 위한 법 제도가 마련되거나 개선됐지만 뚜렷한 효과가 없다 며 법 제도 개선만으로는 현실을 바꾸기 어렵고, 조직 문화와 조직 구성원 개개인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고 말했습니다.
더보기